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AXILLOFACIAL STRUCTURE BY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한 악안면 구조의 3차원적 분석법

  • Kwon, Kui-Young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a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Tae-Geo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권귀영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이상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권대근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Received : 1999.02.08
  • Accepted : 1999.03.09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a three dimensional cephalogram constructed by using the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 of twelve human dry skulls. After achieving the three dimensional image reconstruction program, we tried to apply this program to two dentofacial deformity patients. 1. Conventional nasion relator in cephalostat was used to reproduce the same head position for the same dry skull. The mean difference of the three dimensional cephalogram for the same dry skull was $0.34{\pm}0.33mm$. Closeness of repeated measures to each skull reveals the precision of this method for the three dimensional cephalogram. 2. Concerning the accuracy,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data and actual lineal measurements was $1.47{\pm}1.45mm$ and the mean magnification ratio was $100.24{\pm}4.68%$. This Diffrerence is attributed mainly to the ill defined cephalometric landmarks, not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dry skull. 3. Cephalometric measurement of lateral and frontal radiographs had no consecutive magnification ratio because of the different focus-object distance.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 to the actual lineal measurements was $4.72{\pm}2.01mm$ and $-5.22{\pm}3.36mm$. Vertical measurements were slightly more accurate than horizontal measurements. 4. Applying to the actual patient analysis, it is recommendable to use this program for analyzing the asymmetry or spatial change after operation. The orthodontic bracket would be a favorable cephalometric landmark for constructing the three dimensional images.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두부 계측 방사선기기를 이용하여 12개 건조 두개골의 중요한 방사선학적 계측점에 금속구를 위치시킨 후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을 촬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이 어느 정도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입체 영상을 얻을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실제 두명의 악변형증 환자에게 적용시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asion relator 를 이용하여 두부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각각 촬영된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으로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을 작성해 본 결과, 촬영시 두부의 위치적 변화에 따른 계측치의 차이는 $0.34{\pm}0.33mm$로 나타나 위치적 변화는 거의 없었다. 즉 동일한 두개골에 대한 3차원 계측치의 x, y, z 축상의 위치 편차가 거의 없었다. 2. 실계측치와 3차원 계측치의 차이는 평균 $1.47{\pm}1.45mm$ 크게 나타났으며 실측치에 대한 3차원 계측치의 확대율은 $100.24{\pm}4.68%$였으며, 차이가 평균보다 크게 나타난 일부 항목의 경우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에서 정확한 위치를 잡아내기 어려웠던 계측점이 많았다. 즉, 3차원 계측거리가 실측치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방사선 사진촬영시 위치의 재현성과 관련된 것이라기 보다는 계측점의 식별이 더 크게 좌우된 것으로 보여진다. 3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의 경우 필름과 평행한 시상면에 놓이지 않은 계측항목의 축소가 두드러졌으며 건조 두개골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필름간의 거리가 상이하였기 때문에 수평적, 수직적 확대율의 일관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실측치와의 차이는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이 $4.72{\pm}2.01mm$,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이 $-5.22{\pm}3.36mm$로 나타났으며 수평 계측치보다 수직 계측치가 약간 더 실측치에 근접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 실제 악교정수술 환자에게 적용해 본 결과, 계측항목의 수치적 분석보다는 악골자체의 이동량이나 변화의 정도, 비대칭의 분석등에 사용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더 의의가 있으며 교정환자의 경우 정모와 측모 모두에서 명확히 나타나는 브라켓을 계측 기준점으로 할 경우 보다 정확한 계측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