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광수준이 송악과 수호초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of Hedera rhombea Bean and Pachysandra terminalis Sieb. et Zucc.

  • 발행 : 1999.02.28

초록

본 연구는 차광수준이 송악과 수호초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차광수준을 입사광의 0, 35, 55, 75, 그리고 95%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송악은 95%에서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직립형의 성질을 나타냈고, 수호초는 35%에서 초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지수는 차광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줄기의 직경과 초장은 35%부터 95%로 차광률이 높아지면서 감소하였다. 잎의 생장은 35%와 55% 차광수준에서 가장 좋았으며, 75%에서도 생육이 좋아서 내음성이 양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잎은 광도가 감소함에 따라 길어졌으나, 95% 차광시에는 대조구보다 짧게 나타났다. 전체 엽록소, 엽록소 a, b 함량 및 엽록소 a/b 비율은 차광에 의해서 대조구보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서, 95% 차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35, 55, 75% 수준에서 대조구나 95% 차광수준에서보다 높았다. 비엽중은 광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송악과 수호초의 생육에 적합한 광도는 35%~55% 차광수준이며, 75% 차광하에서도 생육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shading (0, 35, 55, 75, 95% to incident sunlight) on the growth of Hedera rhombea Bean and Pachysandra terminalis Sieb. et Zucc. in order to determine optimum light intensity for ground cover plants. H. rhombea showed a upright growth type under 95% shading and P. terminalis was highest under 35% shading. Number of branche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shading levels. Stem diameter and length were reduced under shading from 35% to 95%. Leaf growth was vigorous under 35% and 55% shade condition. Leaves became longer with decreasing light intensity, but shorter in 95% shading than control. There was a slight trend that total chlorophyll and chlorophyll a, b contents increased with decreasing light intensity, and so did chlorophyll a/b ratio. Fresh and dry weight of both plants were higher under 35, 55, and 75% shading than control and 95% shading. Specific leaf weight tended to decrease with reduction of light intensity. Thus, optimum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them may be 35 and 55% shading of incident sunligh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ow them under even 75% shading of incident sunligh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