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rtificial Culture Soil Using Alum Sludge

정수장슬러지(Alum sludge)를 이용한 인공배양토 개발에 관한 연구

  • Koo, Ja-Kong (Dept. of Civil Engineering, KAIST) ;
  • Lim, Jae-Shin (Dept. of Civil Engineering, KAIST) ;
  • Moon, Yong-Taik (Water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Lee, In-Bog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구자공 (한국과학기술원 토목공학과) ;
  • 임재신 (한국과학기술원 토목공학과) ;
  • 문용택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소) ;
  • 이인복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과학연구소)
  • Published : 1999.03.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unction of an artificial culture soil which was mixed mainly with alum sludge. The artificial culture soil was more efficient than the commercial culture soil for the growth of perennial ryegrass and bush clover. Artificial culture soil was prepared paper sludge(40%), alum sludge(30%), sewage sludge(20%), and compost (10%). This artificial culture soil had no adverse effect on phytotoxicity tests. The alum sludge gives some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hesion strength to the soil enought to require no other addition of adhesive agents. The leaching of aluminum from the alum sludge was negligible even at very low pH(=2) due to the mixed compost.

인공 배양토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수장 슬러지를 주원료로한 인공 배양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인공 배양토보다 제지 슬러지, 하수 슬러지, 완숙 퇴비, 정수장 슬러지를 각각 40, 20, 10, 30% 혼합하여 제조한 인공 배양토가 perennial ryegrass, 싸리나무에 대한 식물생육에 효과적이었다. 식물독성실험에서도 정수장 슬러지를 혼합한 시료에서는 식물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정수장 슬러지는 인공 배양토의 보수력 및 접착력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정수장 슬러지는 알루미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퇴비와 혼합하였을 경우 pH 2의 낮은 pH에서 Al의 용출이 거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