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s of the MARC format for holdings data. It also analyzes the record structure, content designation, and the content of it, mainly based on USMARC and KORMARC formats. Structure and content designation of them are almost same with those of the bibliographic and authority formats. The data fields divided into functional blocks based on their functions, but only 0XX, 5XX, 8XX fields are used in the holdings formats. Record contents of the data in the 008 fields include more elements related to the holdings and acquisition information. Variable fields can be grouped into several blocks, including those for numbers and codes; for notes fields, for location , and for holdings data. Holdings data fields include caption and pattern fields, enumeration and chronology fields, textual holdings fields, and item information fields.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tent in each data fields in detail.
본고는 소장데이터용 MARC 포맷의 일반적 특성과 개발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MARC 포맷의 3요소로 일컬어지는 구조와, 내용표지법, 레코드의 내용을 이미 개발된 USMARC과 KORMARC 포맷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레코드의 구조와 내용표지법은 서지용 및 전거용포맷과 대부분 동일하다. 데이터필드는 기본적으로 기능별블록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현재는 0XX, 5XX, 8XX 필드만이 사용되고 있다. 008 필드의 레코드 내용에는 수서와 보유정책 등 자료의 소장에 관련된 요소들이 추가되어 있다. 가변길이필드의 내용은 번호와 코드, 주기, 소재와 접근, 소장데이터 필드 등으로 구성되며, 특히 소장데이터필드는 다시 캡션과 패턴, 권호와 연대, 문장형식소장정보 자료정보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각 필드별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