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치아 Y염색체상의 sex determining region Y(SRY)유전자를 이용한 성별감정

Sex Determination used Sex Determining Region Y Gene on the Y-chromosome of Human Teeth

  • 김세연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진단.구강내과학 교실, 법의치과학 연구소) ;
  • 안종모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진단.구강내과학 교실, 법의치과학 연구소) ;
  • 유근춘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진단.구강내과학 교실, 법의치과학 연구소) ;
  • 윤창륙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진단.구강내과학 교실, 법의치과학 연구소)
  • Kim, Sei-Youn (Dept. of Oral Diagnosis and Forensic Odontology, Institute of Forensic 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Ahn, Jong-Mo (Dept. of Oral Diagnosis and Forensic Odontology, Institute of Forensic 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Ryu, Geun-Chun (Dept. of Oral Diagnosis and Forensic Odontology, Institute of Forensic 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Yoon, Chang-Lyuk (Dept. of Oral Diagnosis and Forensic Odontology, Institute of Forensic 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발행 : 1999.09.30

초록

최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유전자분석기술의 발달로 성염색체상의 유전좌위 증폭을 통한 성별감정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사람 Y염색체상에 존재하는 남성 고환의 형성을 유도하는 sex-determining region Y(SRY) gene이 규명되어 유전질환의 조기 발견이나 예방 및 태아의 성별판정 등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치아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은 장기로 성별감정 등 법의치과학적 개인식별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SRY 유전자를 이용하여 치아에서의 성별감정에 대한 연구는 시도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 치아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SRY 유전자를 검출하여 성별판정에 용용하고자 하였다. 남녀 각각 20개 치아의 치수와 상아질에서 DNA를 추출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 을 시행하고 SRY 유전자를 검색한 결과, 남성에서는 치수 13개중 8개, 상아질 7개중 4개에서 SRY 유전자가 검출되었고, 여생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사람 치아에서 SRY 유전자를 검색할 때, 남성판별에 유용하고 치아를 이용한 성별감정시 기존의 성별감정에 이용되고 있는 다른 유전자와 함께 SRY 유전자를 검색함으로써 성별감정의 신뢰도를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