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Yongho-dong Area in Pusan, Korea

부산 용호동 일대의 저서 해조상 및 군집구조

  • NAM Ki Wan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 Sik (Department of Marine Life Development Kunsan National University)
  • 남기완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 김영식 (군산대학교 해양생명개발학과)
  • Published : 1999.05.01

Abstract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Yongho-dong area in Pusan, Korea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in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by a quadrat method along 5 transect lines from July 1996 to April 1997. In this area, a total of 99 species including 3 blue-green, 13 green, 26 brown and 57 red algae was found. Among them, 33 taxa, together with dominant Ulva pertusa and Corallina pilulifera, occurred throughout the year. Enteromorpha spp. and Ulva spp. vertically distributed in upper and middle zone, while Simphyocladia latiuscula, Chondria crassicaulis, Corallina pilulifera and Sargassum sup. in lower zones. Biomass per unit area exhibited a wide range of variation, from 1,241 g/$m^2$(spring) to 1,648 g/$m^2$(summer) in fresh weight. Maximum and minimum species diversity were recorded in spring and autumn, respectively. Results of the UPGAM cluster analysis suggest that the examined 5 sit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sites exposed to open sea (transects 1, 2, 3) and comparatively sheltered sites (transects 4, 5) faced with the Pusan Harbor. The former group is represented by large brown algae, Sargassum and Hizikia, while Ulva pertusa and Lomentaria species are mainly found in the latter group. A calcareous alga, Corallina pilulifera occurred dominantly in both groups throughout the year. In conclusion, number of species in this area wa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previous data. This result may suggest probably more change of algal vegetation in future, consider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ollutions loaded i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of this area.

부산 용호동 일대의 저서 해조상 및 군집구조가 1996년 7월부터 1997년 4월까지 계절별로 각 transect line을 따라서 방형구법에 의하여 조간대와 조하대 지역에서 조사되었다. 이 지역에서 남조식물 3종, 녹조식물 13종, 갈조식물 26종, 홍조 식물 57종으로 총 99종이 동정 분류되었다. 이중에서 35 분류군은 연중 출현하였으며, Ulva pertusa와 Corallina pilulifera는 4계절 우점 하여 나타났다. Enteromorpha spp.와 Ulva spp.는 주로 상부와 중부에 분포하는 반면에, Symphyocladia latiuscula, Chondria crassicaulis, Corailina pilulifera 및 Sargassum spp.는 주로 하부지역에 분포하였다. 단위면적당 평균생물량은 $1,241 g/m^2\~1,648 g/m^2$의 범위로서, 봄에는 낮았고 여름에 높았다. 종다양도지수는 봄에 최대값을, 가을에 최소값을 기록하였다. UPGAM에 의한 군집분석결과, 조사된 5개의 지점은 외해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transects 1, 2, 3)과 부산항 쪽으로 면하여 있어서 비교적 덜 노출되어 있는 지역 (transeco 4, 5)의 2개의 군으로 분리되었다. 외해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은 주로 갈조식물인 Sargassum과 Hizikia가, 덜 노출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Ulva pertusa와 Lomentaria가 주로 발견되었으며, 양 지역 모두에서는 석회조류인 Corallina pilulifera가 일년 내내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조사지역에서는 과거에 비하여 출현종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근래에 본 조사지역 인근의 연안 해양환경에 부하될 수 있는 물리, 화학적인 잠재적 오염원을 고려할 때, 차후 본 지역의 해조 식생의 변화에도 시사하는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