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항으로 인해 발생한 철분결핍성빈혈 2례

Two Cases of Iron Deficiency Anemia due to Negative Therapy

  • 최지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교실) ;
  • 이상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교실)
  • Choi, Ji-H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Hyu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9.12.15

초록

연구배경 : 철분결핍성빈혈은 매우 흔하며 그 원인이 다양하므로 근본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여야만 한다. 저자는 소화기관 출혈, 임신, 과다월경 등의 원인 외에 우리 나라의 의료 특성상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부항에 의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였으므로 부항으로 인해 발생한 철분결핍성빈혈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의 행위는 설명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 증례 1 : 27세 여자 환자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0년 전부터 있었던 건선을 치료하기 위해 부항요법을 빈번하게 실시하였고 이로 인한 실혈로 철분결핍성빈혈이 발생하였다. 증례 2 : 70세 남자 환자가 식욕부진과 어지러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9개월 전에도 같은 증상이 있어 철분결핍성빈혈로 진단을 받고 치료 받았으나 5년 전부터 족부 무좀에 대해 실시한 부항요법을 지난 번 빈혈치료 후에도 반복해 실시한 결과 철분결핍성빈혈이 발생하였다. 결론 : 철분결핍성빈혈의 원인으로 우리나라 의료의 특성상 부항요법도 고려하여야 한다.

Background : Iron deficiency anemia(IDA) is a very common condition, and its underlying causes are diverse. Gastrointestinal blood loss, pregnancy, menorrhagia are known as common causes of IDA. However, especially in the IDA case of unknown origin, we must consider the culture specific cause of IDA as a possible cause of IDA. As I found an unusual cause of IDA related to a cultural behavior, I would like to report two cases of IDA occurred by negative therapy in Korea.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se cases by explanatory model. Case 1 : With a chief complaint of dyspnea, a 27-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She had multiple treatment histories of negative therapy for her psoriasis. The blood loss during this procedure is the cause of present IDA. Case 2 : A 70-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anorexia and dizziness. The history of treatment showed that he had an IDA 9 month ago. The IDA developed again because of repeated negative therapy after previous treatment of IDA. He has used the negative therapy intermittently to treat tinea pedis for 5 years. Conclusion : We must consider the negative therapy as a possible cause of IDA in Ko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