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S OF CHILD SEXUAL ABUSE: VIGNETTE STUDY FINDINGS

아동성폭력 상황인식에 영향하는 요인들에 관한 분석 : Vignettes를 이용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고찰

  • Ko, Chung-Mee (Department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owa State University)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his paper is a review of findings from studies that have used vignettes to identify salient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found to influence individuals' perceptions of child sexual abuse. Vignette studies finding avoid to unreliable and biased self-repor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ed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proces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of factors relates to the details of the abuse situation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sexual act (intrusiveness of the sexual act and the frequency of acts), characteristics of victim (age of victim, the gender of victim and victim resistance), and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 (age of perpetrator, gender of perpetrator and the relationship of the perpetrator to the child). The other group of factors focused on in research reflects individuals background variables that affect personal interpretations of the abuse situation. These factors include professional affiliation of the respondent and various other. demographics (e.g., gender of respondent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paren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the length of experience, etc.), along with respondents own child sexual victimization experiences. Based on theses findings vignette studies have allowed researchers to learn how individuals vary their perceptions of various situational aspects of child sexual abuse situations, and how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s observers may influence these perceptions.

이 보고서는 아동성폭력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vignettes를 이용한 연구결과들에 대한 검토이다. Vignettes를 이용한 연구는 self report의 단점이라 할 수 있는 응답에 있어서의 신뢰도 저하와 편견개입을 방지하게 된다. 문헌고찰 가운데서 인식과정에 영향하는 요인들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 번째 그룹에 속한 영향요인들은 성폭력 행위의 특성(성폭력 행위의 종류와 성폭력 행위의 빈도), 성폭력피해자의 특성(피해자의 나이, 성별 및 피해자의 저항정도), 그리고 성폭력 가해자의 특성(가해자의 나이, 성별 및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이다. 또 다른 그룹의 영향요인은 성폭력 상황을 인식하는 개인의 배경변수들이며 이 요인들은 응답자들의 인구학적 요소들 즉 응답자의 직업, 성별, 나이, 교육정도. 결혼여부. 자녀의 유무, 자녀의 수. 직업 근무년수. 성장기의 성폭력 경험여부 등을 포함한다. 결론적으로 아동성폭력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아동성폭력 상황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아동성폭력 상황대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정확히 규명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이를 실천함에 있어 vignettes을 이용한 연구는 아동성폭력 상황인식에 영향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가장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