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structur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Hepatic Fibrosis after the Lig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n Rats

백서의 총담관 결찰에 의한 간 섬유화의 초미세구조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Moon, Kyung-Ry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Rho, Young-Il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Seo, Woo-Chu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Yeong-B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Man-W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Seo, Jae-Hong (Department of Pathol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Sang-K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문경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노영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서우철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영봉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만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서재홍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해부병리학교실) ;
  • 박상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1999.08.09
  • Accepted : 1999.09.07
  • Published : 1999.09.30

Abstract

Purpose: Proliferation of bile duct-like structures and fibrosis is a hepatic cellular reaction observed in most forms of human liver disease and in a variety of experiment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liver inju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of Ito cells and bile duct proliferation in the rat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CBDL). Methods: Hepatic morphological abnormalities were examined in rats whose bile ducts had been irreversibly ligated for 15, 21, 24 and 28 days. The liver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alpha}$-smooth muscle actin, the known marker of activated Ito cells, and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Results: After CBDL, the bile canalicular proliferation and interstitial fibrosis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periportal areas extended to hepatic sinusoids. Ito cells positive for ${\alpha}$-smooth muscle actin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periductular space and in perisinusoidal space of Disse. Ito cells and myofibroblasts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interstitial fibrosis until the 28th day after CBDL. Ito cells and myofibroblasts had microfilaments with dense body at the periphery of the cell.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Ito cells may be fibroblastic or myogenic. It has also been postulated that during the development of hepatic fibrosis, Ito cells become myofibroblasts or fibroblast like cells.

목 적: 답즙 정체를 주 소견으로 하는 만성 간질환의 대부분에서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가 관찰된다. 특히 간외 담도 폐쇄증에서 가장 현저하다. 그러나 섬유화의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총담관 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의 진행과정 및 간섬유화에 대한 Ito 세포의 역할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건강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총담관을 결찰한 후 15일, 21일, 24일, 28일째에 도살하여 담소관의 증식과 간 섬유화의 진행과정을 smooth muscle a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과 전자현미경적 검사를 하였다. 결 과: 1)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간문맥 중심으로 담소관의 증식과 결체조직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에서 활성화된 Ito 세포는 smooth muscle actin에 양성반응을 보였고,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담소관주위와 동모양혈관 주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3)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총담관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Ito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지방적의 수가 감소한 근섬유모 세포를 닮은 Ito 세포와 근섬유모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 결 론: 총담관 결찰후에 볼 수있는 간 섬유화는 활성화된 Ito 세포의 증가와 Ito 세포가 교원질을 분비하는 근섬유 모세포로 변형되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