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loating Island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a Reservoir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식물섬 조성에 관한 연구

  • Lee, Kwang-Sik (Rural Research Institute:RRI,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RDC) ;
  • Jang, Jeong-Ryeol (Rural Research Institute:RRI,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RDC) ;
  • Kim, Young-Kyeong (Rural Research Institute:RRI,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RDC) ;
  • Park, Byung-Heun (Depar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광식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
  • 장정렬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영경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
  • 박병흔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Published : 1999.03.31

Abstract

Three floating islands have been constructed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for a polluted irrigation reservoir. Each floating island consists of 10 segments. Each segment hay an area of $16m^2$(4×4m) and is made of wood frames and floats(polystyrene foam). We planted three species of aquatic macrophytes(Typha angustifolia, Zizania latifolia, and Phragmites australis) in floating island on June, 1998. They grew very well without death. We would like to evaluate Phragmites australis is the most suitable aquatic macrophyte that could be planted in a floating island because it maintained the best balance of its root and shoot among them. During their grown period, net primary productivity of Typha angustifolia was $962gDM/m^2$, Zizania latifolia was $1,115gDM/m^2$, and Phragmites australis was $523gDM/m^2$. From these data, it would be estimated to 5.0Kg uptake of nitrogen by aquatic macrophytes and phosphorus 0.8Kg in 3 floating islands. The floating islands worked well as a habitat of fish and prawns. Many kinds of insect lived on the floating islands. The floating island has not only the function of water quality treatment but also several advantages: improvement of landscape and species diversity; low cost of maintenance; low technology; unnecessary of energy; less susceptible to variations in pollutant loading. It could be evaluated a good measure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for an irrigation reservoir. However, it should be intensively studied to develop more light, strong, durable and low-priced frames for efficient floating islands.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식물섬의 설치상 문제점, 수질개선의 가능성, 생태계의 변화, 유지관리, 향후 설치시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중규모 농업용 저수지에 인공식물섬을 설치 운영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장에서 포트로 재배된 식물을 뿌리에 붙어 있는 토양과 함께 쥬트(마)포트에 넣어 식물매트에 심은 결과 고사된 식물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포장에서 재배된 수생식물을 농업용 저수지에 식재할 경우 수생식물의 성장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천연소재인 쥬트포트와 식물매트는 물 속에서 상당 기간 체류하면서도 원래의 재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의 부식은 상당한 기간에 걸쳐 일어날 것으로 보여 이들이 저수지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3. '98. 6월에 식재된 애기부들, 줄, 갈대의 인공식물섬에서 성장 기간동안 순생산량은 $962gDM/m^2$, $1,115gDM/m^2$, $523gDM/m^2$으로 계산되었으며, 식재 당시에 비해 각각 33, 44, 56배 성장하였다. 단위 면적당 순생산량은 줄이 가장 높으며, 생산량 속도는 갈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공식물섬에 식재된 식물의 성장속도, 지상부와 뿌리부의 균형 등을 고려할 때 갈대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인공식물섬에 식재된 식물의 총 영양물질의 흡수율을 계산한 결과 질소 5.0kg/yr, 인 0.8kg/yr으로 나타났다. 지수지 수표면의 1/20을 인공식물섬으로 조성할 경우 영양물질 흡수량은 저수지 삭감부하량의 질소는 9%, 인은 34%를 처리할 수 있어 인공식물섬이 저수지 수질개선공법으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인공식물섬이 설치된 부분과 설치되지 않는 부분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저수지에서 바람과 호류(湖流)의 영향으로 인공식물섬 설치에 따른 저수지 수질효과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부분은 수질예측모형을 이용하거나 같은 규모의 폐쇄된 연못을 여러 개 만들고 인공식물섬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수질을 측정하여 분석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6. 인공식물섬의 아랫부분은 어류와 새우류의 서식처, 인공식물섬 매트위는 양서 파충류의 서식처 기능을 하며, 인공식물섬 위에는 많은 곤충류가 날아들고 있고, 식재된 식물 이외에 11종이 유입되어 인공식물섬은 생물의 종다양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인공식물섬은 수질을 정화할 뿐만 아니라 경관과 종다양성의 증진, 유지관리의 용이, 고도의 기술과 에너지의 불필요, 부하변동에 대한 적응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나 저수지의 수질개선에 유용한 공법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효율적인 인공식물섬이 되려면 가볍고 강하며, 내구성이 있고 비용이 적은 부체를 개발하는데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