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ulation of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Lake "Paldang" using the RMA-2 Model

수리모형(RMA-2)을 이용한 팔당호의 유속분포 모의실험

  • Published : 1999.03.31

Abstract

A numerical model of flow velocity in the standing water system is presented. This model(RMA-2), based on the 2-dimensional unsteady momentum and continuity equations, uses finite element techniques to simulate the distribution of velocity over a spatial location of lakes. The present model represents an improvement over existing numerical water quality models in that it can model the unsteady state and can, therefore, cope with time with a spatial location of standing waters such as lakes and large reservoirs. The model thus allows the engineer to do more accurate estimation of water flows and thus water qualities in standing waters where directions and velocities of the flow become more important for the simulation of the water quality than in running waters. Tests for the data collected in the lake "Paldang" indicates that the model works well under limited circumstances. However, to be more accurate estimation of velocity with the present model, accumulation of data for the measurement of velocities and renovation of geometrical conditions of the lake would be needed.

팔당호의 수심측량자료와 1997년의 유출${\cdot}$입 유량을 이용하여 RMA-2 수리모형의 팔당호 유속자료를 모의실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팔당호에 대한 RMA-2 수리모형의 민감도 분석결과 조도계수보다는 난류교환계수가 유속의 변화에 더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팔당호에 RMA-2를 적용한 결과, 유속의 크기는 완충지역 역할을 하는 경안천 유입부인 남쪽보다는 방류량과 취수량에 영향을 받는 팔당호 북쪽이 10배 정도 크게 계산되었으며, 팔당호 내부의 물의 흐름은 7월까지는 흐름의 방향이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흐르는 정상적인 상태를 보이다가, 7월 이후 유입량이 많아짐에 따라 댐에서의 차단효과 때문에 경안천 및 소내섬 쪽으로 역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팔당호 내부의 물의 흐름 방향과 지점별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할 수 있었다. 3) 팔당호 내부의 역류 현상은 유입량과 유출량이 평형을 이루는 12월까지 지속되며, 특히 소내섬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이 이 시기에 뚜렷하게 나타나, 수질이나 퇴적현상을 예측할 경우 이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RMA-2모형에 의하여 좀더 정확한 유속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실축유속 및 지형자료의 갱신 및 축적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