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of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in Leaves of Soybean(Glycine max) during Water Stresses and Following Recovery

대두에서 수분장해 및 회복시 엽중 항산화효소의 활성 변화

  • Kang, Sang-Jae (Dept. of Horticulture, Sa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Sung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Woo-Churl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change of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subjected to water stresses in soybean plant.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activities of ascorbate peroxidase(APDX),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MDHAR), dehydroascorbate reductase (DHAR), glutathione reductase(GR) subjected to drought or flooding stresses for 4days and following recovery for 3days. Leaves of two soybean lines subjected to drought or flooding showed premature senescence as evidenced by the decrease in water content and total soluble protein content but those of soybean leaves was increased when stresses were recovered for 3days. The activities of APDX and GR subjected to drought or flooding were the decrease but those of enzymes were recovered when water stress was recovered. The activities of MDHAR with drought or flooding were on the decrease, whereas those of DHAR were increased, respectively. Antioxidant contents decreased continually subjected to drought or flooding but it recovered after 3 days subjected to water stresses.

대두에서 한발과 담수와 같은 수분스트레스시 항산화제의 함량변화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 턴화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두에서 한발과 담수 수분스트레스 처리시 두 품종모두 수분 함량과 가용성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는 미성숙 노화를 나타내었으며 스트레스의 회복시는 회복되었다. 수분스트레스시 APOX, GR의 효소활성은 감소하였고, 스트레스의 회복시 효소활성이 회복되었다. MDHAR 효소 활성은 기간별 처리시 품종별 차이는 있었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회복기를 주었을 때 조금 감소하였지만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다. DHAR의 효소활성은 기간별 처리시와 회복시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일간의 회복기를 주었을 때 효소활성변화는 스트레스시의 결과와 비슷하였으나, 처리기간별 수분 스트레스시 은하콩의 경우 MDHAR과 DHAR의 효소활성이 모두 증가하였다. 아스코브산의 함량온수분 스트레스 처리 기간별과 수분 스트레스 회복시 모두 MDHAR과 DHAR의 효소활성과 상호관련이 높았고, 환원형 글루타치온의 함량은 수분 스트레스 처리 기간별에서는 GR의 활성과 관련이 없었으나 수분 스트레스 회복기를 주었을 때 상호관련이 높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