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스 초기 신경배형성과정에서 신경상피세포의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분화

Histological and Ultrastructural Differentiations of the Neuroepithelial Cells in the Mouse Embryo during Early Neurulation

  • 김율아 (한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정영화 (한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발행 : 1999.03.01

초록

마우스(ICR mouse)의 신경배형성에 따른 뇌 및 척수 신경상피의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분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배발생 8일 (embryonic day 8) 마우스배 (mouse embryo)에서 위중층원주상피의 신경판 및 신경고랑이 형성되었고, 배발생 9일에서는 두부의 전단부 및 말단부를 제외한 전 체장에서 신경관이 형성되었으며, 배발생 10일에서는 미아에서 이차신경배형성이 이루어졌다. 배발생 8일 마우스배의 미부 말단부에서는 신경상피와 중간엽과의 경계가 불분명한 원시선이 관찰되었고, 두부에서는 신경상피, 척삭 및 중간엽세포의 구분이 분명하였다. 배발생 9일과 10일 마우스배의 경우, 후뇌 부위에서는 표피 외배엽세포의 결합에 의하여, 척수 부위에서는 신경상피세포의 결합에 의하여 덮개판을 이루어졌고, 바닥판은 높이가 낮은 위중층원주상피세포로 이루어겼다. 배발생 10일 마우스배에서 척수의 운동신경이 처음 분화되었다. 배발생 9일과 10일 마우스배에서 신경상피세포들은 세포소기관의 분화 및 전자밀도의 차이에 따라 암세포, 중간형세포 및 명세포로 구분되었다. 배발생 9일에서는 모든 형의 세포가 관찰되었으나, 배발생 10일에서는 중간형 및 명세포들 만이 관찰되었다. 모든 신경상피세포에서 free ribosome 및 polysome들이 다같이 발달하였으나, 암세포에서는 RER과 lipid droplet들, 중간형세포와 명세포에서는 Golgi체들이 발달하였다. 중간형세포의 세포질돌기에서는 신경미세섬유, 명세포의 세포질들기에서는 신경미세섬유 뿐만 아니라 미세소관들도 다수 관찰되었다.

Histological and ultrastructural differentiations of the neuroepithelial cells in the mouse embryo during neurulation were observed. The neural plates and grooves consisted of pseudo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in the embryonic day (ED) 8 embryo were developed. In the ED 9 embryo, the neural tube was developed in all body length of embryo except both the cephalic and caudal ends. Secondary neurulation was shown at the tail bud of the ED 10 embryo. In the ED 8 embryo, the primitive streak was shown in the posterior end of the embryonic disc. The neuroepithelium, notochord and mesenchyme were well differentiated in the cephalic and cervical portions. In the ED 9 and 10 embryos, the roof plates of neural tubes were constituted of the closing of the surface ectodermal cells in the hindbrain and the neuroepithelial cells in the spinal cord. The floor plate of neural tube were consisted of the low pseudo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The spinal motor nerve fibers were initially differentiated in the ED 10 embryo. According to the electron density of the cell and the differentiation of tell organelles, the neuroepithelial cells in the ED 9 and 10 embryo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ark, intermediate and light types. All types in the ED 9 embryo were observed but the dark cell in the ED 10 embryo was not done. The free ribosomes and polysomes in all neuroepithelial cells were developed. The RER and lipid droplets in the dark cell and the Golgi complex in the intermediate and light cells were observed. Many microfilaments in the cytoplasmic processes of intermediate cell and the microfilaments and microtubules in the light cell processes were observed to be well differentia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