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ating and Characterization of Al2O3-CoO Thin Films by the sol-gel Process

졸-겔법을 이용한 Al2O3-CoO계 박막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 Shim, Moonsik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Kwangju Health College) ;
  • Lim, Yongmu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Kwangju Health College)
  • 심문식 (광주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 임용무 (광주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Received : 19991131
  • Published : 1999.12.31

Abstract

This paper reports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ored coatings of $Al_2O_3$-CoO. Films of 25mol% CoO doped $Al_2O_3$, have been prepared on soda-lime-silica slide glasses by the sol-gel process from Al-alkoxide and Co-nitrate. The films have been characterized by a photospectroscopy and hardness tester. The color, spectral reflectance and spectral transmittance of the films was expressed in Lab color chart and on spectra plot. Microhardness of the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heating temperatur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films decreased with increase of the heating temperature and coating times. The coating films showed various light-yellow, deep-yellow, greenish-yellow color as a function of the coating times and heating temperature.

25mol% CoO가 고용된 $Al_2O_3$계 코팅박막을 졸-겔법으로 제조하고 열처리온도의 변화와 코팅 횟수에 따른 광투과 스펙트럼과 표면반사율과 색상의 변화를 분석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_2O_3$-CoO계 박막의 UV-Visible 영역에서의 분광투과율은 약 600nm를 최고 정점으로 하여 파장의 감소와 함께 감소하였으며, 평균 분광투과율은 $300^{\circ}C$(61%), $400^{\circ}C$(55%), $550^{\circ}C$(53%)로 열처리온도가 증가할 수록 광투과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50^{\circ}C$에서 열처리한 $Al_2O_3$-CoO계 박막의 1~5회 범위의 코팅 횟수에 따른 UV-Visible 영역에서의 분광투과율은 코팅 횟수의 증가와 함께 2차 함수 곡선을 따라 급속히 감소하였다. Indentor penetration method에 의한 $Al_2O_3$-CoO계 박막의 microhardness는 $300^{\circ}C$($370{\times}10^7N/m^2$), $400^{\circ}C$($405{\times}10^7N/m^2$), $550^{\circ}C$($417{\times}10^7N/m^2$)로 열처리 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박막의 표면반사광의 스펙트럼은 열처리 온도의 증가에 따라 반사용은 낮아지며, Db값이 20~30 범위에서 높은 값으로 전이하여 황색의 심도가 깊어졌다. 박막의 코팅 횟수에 따라서는 1회(600nm), 2회(560nm), 4회(530nm)로 낮아지다가 5회 (575nm)로 다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yellow에서 greenish-yellow로 변화하다가 Db가 약 50에 달하는 deep yellow로 전이하였다. 명도는 1회(69.77), 2회(68.64), 3회(63.14), 4회 (64.94), 5회(60.42)로 코팅 횟수의 증가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광주보건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