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이상과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 in Determining the Refractive State of the Eye

  • 서용원 (대구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 최영준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 Seo, Y.W. (Dept. of Ophthalmic Optics, Taegu Health College) ;
  • Choe, Y.J. (Dept. of Physics Education, Taegu Univ.)
  • 투고 : 1999.09.13
  • 발행 : 1999.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안과적 질환이 없는 한국인 성인 남녀의 안광학적요소를 측정하여, 안축의 길이를 각막 양주경선의 평균곡률반경으로 나눈 값(Al/CR비)과 눈의 굴절이상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눈의 굴절이상과 안축의 길이, 각막곡률반경과는 각각 -0.77(0.001>p), 0.29(0.01>p)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AL/CR비와는 이것들보다 훨씬 높은 -0.89(0.001>p)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눈의 굴절이상의 대부분은 AL/CR비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Al/CR비에 기여하는 안광학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AL/CR비와 안광학요소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안축의 길이와는 0.82(0.001>p), 유리체의 깊이와는 0.80(0.001>p), 전방의 깊이와는 0.57(0.001>p), 각막굴절력과는 0.40(0.001>p), 각막골률반경과는 0.39(0.001>p), 수정체의 굴절력과는 -0.35(0.01>p)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눈의 굴절이상은 안광학요소 중 안축의 길이와 각막곡률반경의 비에 의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이 AL/CR비는 안축의 길이, 초자처의 깊이, 전방의 깊이 등이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나, 수정체의 두께는 유의할 만한 상관성이 없음을 알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 and refractive error for human eye. Ocular components were measured Baush & Lomb keratometer, Holden-Payor pachometer, and Stoz Compuscan. Refractive error was measured by subjective refr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 and 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 was very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0.89. 2) 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 and axial length, vitreous chamber depth were highly correlat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82, 0.80 respectively. 3) 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 and anterior chamber depth, corneal power, corneal radius, lens power were correlated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0.57, 0.40, -0.39, -0.35 respectively. 4)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 and lens thickness, and corneal thickn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