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rneal Refractive Power of Myopic Eyes in Korean

한국인 근시안의 각막 굴절력에 관한 연구

  • Sung, Duk Yong (Department of Ophtalmic Optics, Taegu Polytechinic College) ;
  • Youk, Do Jin (Department of Ophtalmic Optics, Taegu Polytechinic College)
  • 성덕용 (대구산업정보대학 안경광학과) ;
  • 육도진 (대구산업정보대학 안경광학과)
  • Received : 1999.08.06
  • Published : 1999.12.31

Abstract

In this study, corneal power and eye refraction error were studied on myopic of unaccommodated koreans. The mean of refraction error power is -2.39D(male : -2.75D, female : -2.02D). The mean of corneal refraction error power is +43.90D(male : +44.07D, female : +43.71D). It is +0.90D higher than that of the model eye by Gullstrand(about + 43.00D).

근시성 굴절이상(근시성 직난시 혹은 도난시)이 있는 60명 120안을 대상으로 교정 굴절력 및 각막의 굴절력을 측정한 결과, 남자의 경우, 수직, 수평방향 교정 굴절력 평균은 -2.75D, 각막의 굴절력은 +44.07D로 나타났고, 여자의 경우 -2.02D, 근시일 때 각막의 굴절력은 +43.71D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전체의 교정굴절력 평균은 -2.39D 근시이었고, 각막의 굴절력 평균은 +43.90D로 나타났다. Gullstrand 모형안 에서 정시의 경우 각막의 굴절력이 약 +43.00D와 비교해 볼 때, 근시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각막의 굴절력이 +0.90D 더 크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