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cess of the Quickening and Development of Science-Technology- Society Education in the United Kingdom (I) - Betwee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and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

영국에서의 과학-기술-사회 교육의 태동과 발전 과정( I )-19세기 초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를 중심으로-

  • 송진웅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Published : 1999.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how STS-related ideas in science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historically in the context of British education, particularly focused on the perio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t has been hardly considered that the basic ideas of the STS education, one of the two paradigms of current science education together with constructivism, can be traced back to the beginning of the school science education itself. far beyond some of the programs which are largely regarded as the first-developed STS programs in Britain, such as Science in Society and SISCON. The movement of Mechanics' Institut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ould be the first systematic attempt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knowledge of pure science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although the main target was working-class adults rather than school pupils. At the end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is application-focused approach of science teaching was echoed in the elementary schools by Richard Dawes, one of the early experimenters of school science. The second half of the century was in large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science a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school curriculum, mainly by emphasizing the aspect of pure science as a means for mental training. During this period, the elements of STS education-related appeared in the subject called 'Object Lesson' in elementary schools which was practically a separate subject from those of science. After the turn of the century, triggered by the experience of World War I, the growing appreciation of the impacts of science upon society and of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of science for wider audience gave a great impact towards two new main movements, i.e. for General Science and Citizen Science. The later illustrates a typical example of the STS movement in school scienc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particularly driven by the socialistic ideas towards the relation between science and society.

본 논문의 목표는 영국의 과학교육이라는 맥락 속에서 STS교육과 관련된 아이디어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 특히, 19세기와 20세기 전반 동안 - 살펴보는 것이다. STS교육은 구성주의와 함께 20세기 후반의 세계 과학교육을 특징짓는 양대 패러다임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은 STS교육의 역사를 Science in Society 와 SISCON 이 개발되었던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영국에서 STS교육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최초의 움직임으로는 19세기 초반의 노동자를 대상으로 과학의 기초 내용과 그 응용적 측면을 교육하고자 하였던 '노동자학교' 운동과 초등학교에서 '일상사물의 과학' 을 활발히 교육하였던 Dawes 등의 활동을 들 수 있겠다. 19세기 중반을 지나면서, 이러한 움직임은 초등학교의 '실물학습'이라는 교과를 통해 이어지게 되는데, 그 시기 동안 학교 과학 과목들은 정식으로 교육과정에 포함되고 이 과정에서 과학은 점차 순수 학문적이고 전문가 양성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그 성격이 확립되게 되었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협소한 관점의 학교 과학교육에 대한 비판과 반성이 점차 제기되었고, 특히 제 1차 세계대전의 경험을 통해 일반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널리 인식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1920-40년대 영국에서는 '일반과학'과 '시민과학'의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이중에서 특히 '시민과학' 운동의 일환이었던 Hogben의 Science for the Citizen의 집필은 대표적인 STS교육의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20세기 중반까지의 영국의 과학교육사는 기본적으로 학교 과학교육이 실용성과 학문성. 전문가양성과 일반 교육, 정신훈련과 과학지식교육, 개별과학과 일반과학 등 과학교육의 목표와 기능에 대한 상치되는 관점들 간의 투쟁의 단면들임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