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Safe Cropping Season in Direct- Seeding of Rice on Flooded Paddy by Using Effective Temperatures in Agroclimatic Zones

농업기후지대별 작물생육 유효기온 출현특성에 따른 벼 담수직파 안전작기 설정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afe cropping season for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by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data(l973~1992, 20 years) from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critical date for early seeding(CDES) at direct- seeding culture on flooded paddy was decided by the appearance date of daily mean air temperature(DMAT) of 15$^{\circ}C$. The optimum heading date(OHD) was the first day when 22$^{\circ}C$ of daily mean air temperature could be kept for 40 days of ripening period after heading, and the critical date of late heading for safe ripening(CDHR) was the last day when 19$^{\circ}C$ of daily mean air temperature could be kept for 40 days after heading. The optimum seeding date(OSD) and the critical date for late seeding(CDLS) could be decided by the accumulated temperature from OHD and CDHR to the appearance dates of necessary temperatures for early, intermediate, and intermediately late maturing varieties. This results can b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afe cropping season of direct-seeding on flooded paddy in each agroclimatic zone. For instance, the OSD appearance date for early maturing variety in Suwon region appeared to be May 11~20 and the CDLS appearance date was May 31~June 7.

벼 담수직파재배의 파종적기와 만한기를 농업기후지대별 기후자료 분석하여 결정하고자 기상청의 56개 기상관측지점의 유효기온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일평균기온 15$^{\circ}C$ 출현시기를 파종조한기 결정의 유효기준온도로 하고, 농촌진흥청의 작황진단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파종기부터 출수기까지의 출수생태형에 따른 적산온도를 결정하여, 벼 담수직파 안전재배 시기를 설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평균기온 15$^{\circ}C$의 출현시기에 따른 파종조한기는 남해지역이 4월24일로 가장 일렀고, 대관령지역이 기장 늦은 6월6일로 나타나 두 지역 사이에는 약 43일의 파종조한기 출현시기의 차이가 있다. 2. 최적출수기를 결정하는 출수 후 40일간 등숙온도 22$^{\circ}C$의 출현시기는 인제지역이 가장 이른 7월29일이었으며, 목포와 여수지역이 가장 늦은 8월22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간에는 약 24일의 차이가 있다. 3. 등숙만한출수기를 결정하는 출수후 40일간 등속 온도 19$^{\circ}C$의 출현시기는 인제지역이 가장 이른 8월20일이고, 완도 부산.통영 여수지역이 가장 늦은 9월14일이었다. 이들 지역간에는 약 25일의 차이가 있다. 4. 출수생태형에 따른 파종기부터 출수기까지의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의 평균적산온도는 각각 2,02$0^{\circ}C$, 2,37$0^{\circ}C$, 2,52$0^{\circ}C$정도였으며, 이들의 표준편차는 140, 150, 180이었다. 5. 벼 출수생태형에 따른 담수직파 안전작기는 조생종의 경우 태백고냉지대, 준고냉지대, 소백산간지대, 노령소백산간지대의 일부 지역과 동해안북부지대를 제외하고는 다른 지역에서 안전재배가 가능하고, 중생종은 호남내륙지대, 영남내륙지대, 차령남부평야지대, 남서해안지대, 남부해안지대, 동해남부지대와 영남분지지대 일부지역이었다. 중만생종은 중생종과 비슷한 지대에서 가능하였고, 파종기는 중생종보다 이르게 나타났다. 등숙만한출수기 기준의 안전작기는 조생종과 중생종은 태백고냉지대와 태백준고냉지대, 소백산간지대 일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 설정되었고, 중만생종은 태백고냉지대, 태백준고냉지대, 동해안북부지대, 소백산간지대, 노령소백산간지대의 일부 지역은 벼 담수직파가 불가능하게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