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ing Effects 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bies holophylla

인공 피음처리에 따른 전나무의 생장과 엽록소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 우수영 (상주대학교 농학부 산림자원학과) ;
  • 이동섭 (상주대학교 농학부 산림자원학과) ;
  • 권오규 (상주대학교 농학부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easonal changes of height, diameter at root collar, biomas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bies holophylla seedlings grown in Sangju National University Nursery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ies. Four light intensities were adopted using nylon net such as 100% sunlight(1800 $\mu$㏖ m$^{-2}$ s$^{-1}$ ), 75% of sunlight (1350 $\mu$㏖ m$^{-2}$ s$^{-1}$ ), 50% of sunlight (900 $\mu$㏖ m$^{-2}$ s$^{-1}$ ) and 25% of sunlight (450 $\mu$㏖ m$^{-2}$ s$^{-1}$ ). Planting density in four light intensities was 30 cm$\times$30 cm. In each treatment, 100 trees were planted and height, diameter at root collar, biomass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measured. The highest height, diameter at root collar and biomass in Abies holophylla seedlings were observed at 100% full sunlight. Lowest chlorophyll contents (Chlorophyll a, b and total) were shown at 25% of sunlight, lowest light intensity treatment in this study. Growth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bies holophylla seedling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light intensity. Photosynthesis has to be investigated in near future because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strongly related to tree growth with long periods.

전나무(Abies holophylla)의 광도에 따른 생장량과 엽록소함량의 계절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전나무 1-1묘목을 이용하여 광도를 피음막으로 자연광 상태(1800 $\mu$㏖ m$^{-2}$ s$^{-1}$),자연광의 75%광도, 자연광의 50%광도, 자연광의 25%광도의 4가지로 조절하였다. 이들 묘목을 각각 상주대학교 묘포장에 30 cm$\times$30 cm 간격으로 100개체씩 반복하여 식재하여 수고, 근원경 생장, 물질 생산량 및 엽록소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100%자연광을 받은 전나무가 수고, 근원경 생장, 건물질 생산량 모두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다. 전나무1-1묘목은 오히려 광도가 낮아지면 생장이 저해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엽록소 함량(a, b,총 엽록소함량)은 광도가 낮은 실험구에서 가장 좋지 않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광도가 낮아지면 엽록소함량도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나무 묘목의 피음효과에 대한 생장반응은 오랜 기간을 두고 관찰해야 하며 엽록소함량, 묘목의 생장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광합성에 대한 연구도 있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