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bility Analysis of the 8 Ton Class Fishing Vessel in Seaway

파랑중 8톤급 어선의 복원력 분석

  • Published : 1999.05.01

Abstract

In this study, the stability analysis of a fishing vessel in a seaway was done. The stability analysis is an important item in the ship design, and so the ship registers of each nation constrain the ships to be followed the stability criterion. Stability variation, exciting forces due to wave and wind, and the broaching phenomena cause the capsizing of a ship. In this study, the stability analysis to study of the capsizing of a fishing vessel was performed. The relation between the speed of the ship and the wave length, that makes the encountering frequency vanish, was obtained. It was found that the encountering frequency tend to be zero when the wave whose length and direction are similar to those of ship. In this case, the possibility of dangerous situation becomes high. The calculated restoring arm becomes small when the ship is located near the wave crest. In general, the selected small fishing vessel is better than the large ship with respect to the stability, however the wave height becomes relatively high because of her small length Kim(l994) calculated the stability variation of the large cargo ship, the results of which showed the changes in stability great. But in the selected small fishing vessel in this study, the changes was small in comparison with the larger ship. This reason seems to be the shape of her midship section. In large cargo ships, the block coefficient is large, but that of the fishing vessel is relatively small and the small fishing vessel has chine, therefore the center of buoyancy moves much when the ship is inclined. It is desirable that the dynamic stability analysis for a fishing vessel, whose speed and direction are similar to those of waves, shall be done in the near future.

본 연구에서는 8톤급 어선의 복원력 분석이 이루어졌다. 복원력 분석은 안정성과 관련이 있어, 선박의 기본설계시 중요한 항목중 하나이고, 각국 선급에서 규정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파랑중 어선의 전복현상은 파랑 및 바람에 의한 외력과 파랑중 선박의 브로우칭 (broaching) 현상과 복원력 변화가 어우러져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복 -현상에 대한 분석을 하기 전에 필요한 파랑중복원력 분석이 수행되었다. 파도와의 만남 주파수가 0이 되는 선속과 파장의 관계가 구해졌다. 본 연구에서 택한 어선의 경우 선박의 길이와 비슷한 파장을 가지는 파도와 같은 방향으로 가면 만남 주파수가 작아짐 을 알 수 가 있었다. 이런 경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복원팔의 계산 결과 파정에 선박이 위치하고 있을 때, 복원력 감소가 상당히 발생하였음을 알 수가 있었다 파정에 오래 머물지 않도록 하는 운항 지침이 있어야 하겠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택한 어선을 대형 화물선보다 복원력 변에서는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선체가 작아 상대적 으로 높은 파도를 만날 가능성이 많다. 앞 절에서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한 계산 결과를 보았다. 김윤수(1994)는 대형화물선에 대하여 복원력 변화를 계산하였는데, 파도에 의한 복원력변화가 심하였다. 위의 그립을 보면 H/Lw=0.025에서 GZ 곡선의 최대 값이 1/2 이하로 줄어듦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어선의 결과인 Fig. 6 과 7을 보면 변화가 대형화물선과 비교하며 작음을 알 수 있다. 이 것의 원인은 중앙단면의 형상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화물선의 경우 방형 비척계수 (뚱뚱함을 나타내는 계수)가 큰데 반하여, 본 어선은 방형 비척계수가 작고 측면에 차인을 두어 부력중심의 변화가 커서 복원력이 많이 작아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파도와 비슷한 속도와 방향으로 항주하는 어선의 동역학적인 안정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