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천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지형요인

The Topographical Factor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of Iwonchon Basin

  • 이호준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 ;
  • 방제용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
  • 발행 : 1999.06.01

초록

지형요인이 어떻게 수질에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고자 1993년 3월 부터 1998년 3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는 충북 옥천군 이원면의 경작지가 주류를 이루는 개심저수지와 산지유역으로 특성지워지는 장찬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유역을 11개 소집수역으로 세분하고 지형학적 특성과 하천수질과의 상관성, 하천 유역의 오염원 동태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심저수지 유역의 형상계수는 0.030∼0.210(평균 0.090), 장찬저수지 유역의 형상계수는 0.217∼0.452 (평균 0.325)로 장찬저수지 유역의 형상계수가 3.61배 더 높다. 개심저수지의 E(지정리와 미동리), F(윤정리) 소집수역은 금강유역 전체의 형상계수 0.063과 비슷하여 홍수유속시간이 금강과 유사하였다. 하천길이와 유역면적의 관계식은 L=1.44A/sup 0.06/로 보정되었다. 환상율은 개심저수지 유역 17.114, 장찬저수지 유역 7.444로, 강수도달시간은 금강 전체 유역보다 5배 빠른 것으로 추정되었다. 세장율은 개심저수지 유역 0.357 (금강 0.282), 장찬저수지 0.636으로 나타나 장찬저수지 유역에서 강수집합시간이 1.54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수역별 강수도달시간은 장찬저수지 유역의 A' 소집수역이 337.53 min.로 가장 느렸으며 개심저수지 유역의 H 소집수역은 49.26 min.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체적으로 하류로 갈수록 강수집합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곡의 밀도는 0.500∼l.337범위에 있었으며 강수침투와는 역의 상관을 나타낸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하천을 막거나 개절(開切), 직선배수로화는 홍수를 유발할 가능성이 많고, 하천의 자정능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심저수지와 장찬저수지의 수계빈도(Df)와 곡의 밀도(Dd)의 관계는 개심저수지 유역 Df=0.023Dd², 장찬저수지유역 Df=0.189Dd²으로 산정되었다. 평균경사는 개심 14.03, 장찬 16.9로서 장찬저수지가 유량이 많아지기 쉬운 것으로 조사 되었다. 경사가 증가하면 용존산소량은 증가하지만, 증가폭은 크질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OD와 평균경사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나 BOD는 평균경사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형상계수와 환상률 및 총질소와의 관계는 형상계수(Y/sub TKN/=0.7271X+0.0967)와 환상률이 커질수록 TKN이 증가하였다. (Y/sub TKN/=0.1577X-0.1501). BOD와 COD는 1BOD/l.2COD의 관계가 있었다.

This survey was performed from March 1993 to March 1998,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and topographical factor. The study sites were two reservoir basins; Kaesim and Jangchan in Iwon-myon, Okchon-gun, Chungcho'ngbukdo Province. Basin shape factors of Kaesim reservoir were at 0.030∼0.210 (mean value 0.090), those of Jangchan reservoir were at 0.217∼0.452 (mean value 0.325). The mean basin shape factor of Jangchan reservoir was 3.61 times larger than that of Kaesim reservoir because its stream width was narrower and mean stream length was shorter. In the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from the source of stream (L) and basin area (A), Iwonchon basin was calculated as L=1.44A/sup 0.6/. Circularity ratio was 17.114 in Kaesim (22% of Kum River), and 7.444 in Jangchan. Elongation ratio was 0.357 in Kaesim, 0.636 in Jangchan and 0.282 in Kum River. Precipitation summation period of Jangchan was 1.54 times slower than that of Kaesim. Rainfall reaching time in each small basin was 337.53 min. in A'(Jangchan-ri) basin of Jangchan and 49.26 min in H (Iwon-ri) basin of Kaesi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hed frequency (Df) and drainage density (Dd), the regression equation was Df=0.023Dd² in Kaesim and Df=0.189Dd² in Jangchan reservoir. As slope degree increased, DO became higher (Y/sub DO/=0.19X+6.5927, r=0.8l), but COD(Y/sub COD/=-0.2092X+9.7104, r=0.52) became lower. Total nitrogen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basin shape factor and circularity ratio. Ratio of B/sub OD/ to COD was 1/1.2(Y/sub BOD/ = 1.2984 X/sub COD/-3.2004, r=0.9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