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nomics of Gall-Forming Paracolopha morrisoni(Aphidoidea: Homoptera)

충영을 형성하는 외줄면충 (진딧물상과: 매미목)의 생태

  • 이원구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 황창연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생물자원과학부)
  • Published : 1999.02.01

Abstract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aracolopha morrisoni's galls on Zelkova serrata until the emergence of alatae from the galls was studied at Chonju, Korea. The galls were formed from late April to early May, 1997 and the galls began to open in early June. The length and width of galls and leaves were measured during the period from gall formation to opening. The length and width of galls have been increased until mid May continuously. The galls stopped growing at 12th of May. Fundatrices (the first generation in the gall) began to larviposit from May 15th and the second generation developed in late May. The alatae of the second generation arrived at the final stadium, that was escaped from the gall, in early June. Thus, there were only 2 generations in the gall. The close correlationship between gall growth and leaf growth suggests that leaf growth force may have a great influence on gall development.

1997년 4월부터 6월 사이에 전북 전주시 천잠산에서 외줄면충(Paracolopha morrisoni Baker, 1919)의 충영 형성과 1차 기주식물인 느티나무 잎의 생장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외줄면충은 느티나무 가지의 3∼4번째 잎에 많이 분포하며, 주로 잎의 하단 엽맥에 충영을 형성하였다. 충영은 4월 20일 경에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4월 23일에는 길이(2.98 mm)와 폭(2.24 mm)이 비슷하였으나 길이의 생장이 빨라져 5월 12일에는 길이(11.05 mm)와 폭(6.60 mm)이 최대로 생장하였는데 이는 잎의 길이 생장과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충영을 절개하여 외줄면충의 발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간모가 3번 탈피하여 5월 8일에 간모 성충이 100% 나타났으며 제2세대를 체내에 간직하고 있었다. 5월 19일에는 간모 성충의 84.8%가 사망하였다. 제2세대인 이주형은 5월 12일에 약충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5월 하순에 4회 탈피하여 6월 3일에는 유시 성충이 나타났다. 6월 7일에는 충영의 기부가 열려 유시 성충이 탈출하고 그 후 충영은 갈색으로 변하여 쇠퇴하였다. 이상의 충영 형성과정을 볼 때 간모 세대가 충영의 형성과 생장에 관여하며 제2 세대는 충영의 생장과 관계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