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_1$/T$_2$ maps 의 재구성을 위해 잡음의 표준편차를 이용한 수신 증폭률 보정

Correction of Receiver Gain using Noise′s Standard Deviation for Reconstruction of T$_1$/T$_2$ Maps

  • 김미나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
  • 김성은 (가톨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 신승애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
  • 정은기 (연세대학교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발행 : 1999.09.01

초록

현재 임상적으로 쓰이고 있는 T$_1$/T$_2$ 강조영상 (weighted image) 은 각각 다른 조직이나 정상/병변 조직 사이에 정성적인 대조도를 준다. T$_1$/T$_2$ 영상화 (mapping)는 영상의 각 화소신호랄 T$_1$/T$_2$ 시간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병변의 진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알 수 있다. T$_1$/T$_2$ 영상화 (mapping)를 얻기 위해서는 수신신호의 증폭률이 같아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MR 영상화 장비에서는 A/D converter 의 동적 구간을 최대 활용하기 위하여 입력신호를 최대 증폭하기 때문에 각각 다른 수신 증폭률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최대 증폭한 경우와 수신증폭률을 보정한 경우의 T$_1$/T$_2$ 영상을 각각 얻고 측정된 T$_1$/T$_2$ 값을 비교하여 수신증폭률 보정이 T$_1$/T$_2$ 영상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방법으로서 얻은 영상들이 각각 다른 수신증폭률을 가진 경우에 이를 보정하기 위해 잡음을 표준편차로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머리의 T$_1$/T$_2$ 영상은 이미 보고된 T$_1$/T$_2$ 의 값과 유사하였다.

T$_1$/T$_2$ weighted images are being used to give the characteristic contrast among the various tissues and the norma;/abnormal tissues. Abnormalities in tissues, in general, accompany the biochemical changes and eventually structural ones in which results in the change in T$_1$ and T$_2$ relaxation times of water proton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apping of T$_1$/T$_2$ values may serve as a possible tool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abnormality. On reconstructing T$_1$/T$_2$ maps(or any other MR parametric map), only corresponding variables are to be varied, such as TE for T$_2$, TI or TR for T$_1$ and b-factor for diffusion images. But often the receiver gain is taken for the optimal usage of A/D converter, so that the set of the image data has different receiver gain. It must be corrected before any attempt to reconstruct the maps. Here we developed method of correcting receiver gain variation effect,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noise on individual image. The resultant T$_1$ and T$_2$ values were very comparable to the other reported valu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