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서해 중부 태안반도 연근해역 사질퇴적물의 광물성분과 조직특성

Mineral Compositions and Textural Characters of the Bottom Sandy Sediments off Taean Peninsula, West Sea of Korea

  • 발행 : 1999.12.01

초록

연구지역 (태안반도 연근해역의 내대륙붕)의 해저 퇴적물의 약 80%는 중립질 쇄설성 석영이며, 이러한 석영 쇄설입자의 60 %는 철 산화물이 부분적으로 피복된 석영이며, 20%는 철 산화물로 완전하게 피복된 석영이다. 또한 해록석 광물이 비교적 풍부하게 발견된다. 이러한 연구지역 퇴적물의 광물조성 특성은 동지나해 대륙붕 퇴적물의 사질입자 광물성분의 분석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규명되었다. 결과적으로 광물조성 및 조직 특성은 본 연구 해저의 쇄설성 사립 퇴적물의 대부분이 현세이전 또는 초기 현세에 집적된 잔류 퇴적물 (relict sediment)임을 지시한다.

The surfacial bottom sediments on the nearshore to infer continental shelf off the Taean Peninsular, west coast of Korea are dominantly medium-grained clastic sands. About 60% and 20% of these clastic sands are partly iron-stained quartz and completely iron-stained quartz, respectively. Characteristically glauconite grains are abundantly found in these clastic sands. The mineral compositions of clastic sandy sediments in the study area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East China continental shelf sediments. Accordingly, such iron-stained quartz grains, glauconite grains and associated textural characteristics seem to indicate that those sandy sediments are relict sediments related to past condition, i.e. Quaternary low stands of sea lev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