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만 김포 조간대 지층의 제 4기 후기 층서

Late Quaternary (Late Pleistocene and Holocene) Stratigraphy and Unconformity in the Kimpo Tidal Deposits, Kyunggi Bay, West Coast of Korea

  • 발행 : 1999.12.01

초록

경기만 김포조간대 지층의 제4기 후기 층서를 규명하기 위하여 3공의 심부 시추(기반암까지 시추됨)를 실시하였으며, 퇴적층의 색상과 퇴적구조 및 입도조직에 근거하여 4개의 암상층서단위를 구분하였다. 이러한 암상단위의 층서는 상위에서 하위로 현세(Holocene) 조수퇴적층 (층서단위 I), 초기 현세 담수습지 퇴적층 (층서단위 II), 플라이스토세 후기 조수퇴적층 (층서단위 III) 및 플라이스토세 후기 육상퇴적층 (층서단위 IV)의 순서이다. 특히 단위 III은 지난 최대 빙기 (LGM)동안에 대기중 노출에 따른 풍화 및 결빙의 영향을 받은 상부(층서단위 III-a)와 풍화를 받지 않은 하부(층서단위 III-b)로 세분된다.

Three deep borings to obtain vertical continuous samples including weathered basement soils (KP-1, KP-2 and KP-3) were carried out in the reclaimed Kimpo tidal flat with purposes to establish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On the basis of detailed observations and descriptions on color, sedimentary structure and textural composition of cored sediments, four lithostratigraphic units are classified. From the stratigraphic top to bottom, they are Holocene tidal sand and muddy deposit (Unit I), early Holocene freshwater marsh muddy deposit (Unit II), late Pleistocene tidal sand and muddy deposit (Unit III) and late Pleistocene basal fluvial gravel deposit (Unit IV). In particular, Unit III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upper part-weathered and cryoturbated part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Unit III-a) and the lower part-unweathered tidal sand and muddy deposit (Unit III-b).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