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지역 물수지 추정

Estimation of Regional Water Balance in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 김만규 (공주대학교 지리학과 지역개발연구소)
  • 발행 : 1999.12.01

초록

기후변화와 이에 따르는 식생변화, 인위적인 토지이용 변화 등 '지역환경생태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지역 물수지변화' 추정은 오직 필자가 개발한 BROO $K_{TOP}$과 같은 '물리기반 물수지 모델(Physical based Water Balance Model)'류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중북부 농업지대와 산림지대에 대해서 $BROOK_{TOP}$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립된 물리기반 지역물수지모델에 독일 포츠담 기후변화연구소(PIK) 시나리오와 체코 프라하대학에서 개발한 중부유럽 대상 GC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물수지변화를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기후와 지표.지하조건을 고려 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자원변화 예측시스템 개발은 하천수$\cdot$지하수 개발 및 수질 관리, 농업경작관리, 환경생태계 관리, 자연 재해 관리, 토지이용계획 및 지역개발계획 등을 위한 시스템개발의 기반이 된다

It is only possible by Physical based Water Balance Models such as $BROOK_{TOP}$ developed by me to estimate regional water balances caused by changes of regional ecosystem, which result in climate change, change of vegetation due to climate change, artificial landuse change, etc. This study estimates regional water balances of mid-north agricultural and forest regions in Germany using $BROOK_{TOP}$-Water Balance Model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developed by PIK in Germany and GCM Scenarios developed by Praha University in Czech. Developing Water Resource Change Estimation System such as this study for global warming with considering climate, surface and underground conditions provides the basis of system development for surface-, groundwater-, cultivation-, ecosystem-, natural emergency-management, landuse and regional plan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