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New Azimuth on the Suwon Geodetic Datum by GPS Surveying and Its Accuracy Analysis

GPS측량에 의한 경위도원점의 신원방위각 결정 및 정확도 분석

  • 최윤수 (국립한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병욱 (국립한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경수 (국립지리원 측지과) ;
  • 강인구 (국립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국립지리원 측지과) ;
  • 안영길 (국립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국립해양조사원 해도과) ;
  • 조현천 (국립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Mark point(Donghaksan) of Korean geodetic datum in Suwon could not be intervisibl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surroundings, so we were in a situation that we should establish new mark point and decide azimuth of the new mark point. Getting out of the intervisibility between control stations, refraction error and effect of illumination in urban area, our research team decided new azimuth of Suwon Geodetic Datum by GPS surveying for accuracy and economical efficiency. First we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e specification on the decision of azimuth in accordance with our situation based on the study of foreign studies by using GPS, and we determined and analyzed the accuracy of the new azimuth through organizing and observing the GPS network.

우리나라의 원방위점이 주변지역의 개발로 인하여 시통이 불가능하게 되어 새로운 원방위점의 설정과 원방위각의 결정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점간의 시통문제와 기상문제에서 탈피하여 정확도, 경제성 등에서 효율적인 GPS를 이용하여 수원원점의 신원방위각을 결정하였다. 즉, 외국 문헌조사를 토대로 GPS를 이용한 방위각결정에 관한 작업규정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ㆍ보완하였으며 이에 따라 GPS 관측망을 구성ㆍ관측하여 신원방위각을 결정하고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