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 Method for Lend Extraction from Pb - Contaminated Soil with EDTA

EDTA를 사용한 납 오염 토양에서의 효율적인 납 추출

  • 김철성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토목과 환경부)
  • Published : 1999.05.01

Abstract

The effects of major cations in soils, soil : extractant ratio, and EDTA : lead stoichiometric ratio on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lead using EDTA were studied for 4 different actual lead-contaminated soils and one artificially lead-contaminated soil. Extraction of lead from the lead-contaminated soil was not affected by a soil : extractant ratio as low as 1 : 3 but instead was dependent on the quantity of EDTA present.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extraction efficiency for each soil was different, but if sufficiently large amount of EDTA was applied, all the lead may be extracted except for a soil from lead mining area. The differences in extraction efficiencies nay be due to the major cations present in soils which may compete with lead for active sites on EDTA. The total molar amount of major cations extracted was as muck as 20 times more than the added molar amount of EDTA. For some of the soils tested,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lead may be affected by being occluded in the Fe and Mn oxides present in the soil. While major cations present in the soil may be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lead extraction efficiency, the type of lead species present may also play a role. When these factors affect severely, the using of EDTA to extract lead from lead-contaminated soil might be non-effective method.

4종류의 서로 다른 납 처리시설 주변토양과 인위적으로 납을 오염시킨 토양에서 토양 내에 존재하는 주요 양이온과 토양 질량 대 EDTA 용액부피 비 및 납과 EDTA의 정량비(stoichiometric ratio)가 EDTA를 사용한 납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납 오염토양으로부터의 납 추출은 EDTA용액 부피 대 토양 질량 비를 3$m\ell$/g까지 감소시켜도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단지 용액 내에 존재하는 EDTA의 몰수에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각각의 토양에 대한 납 추출효과는 서로 다른 독립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납 광산시설 주변토양을 제외하고는 다량의 EDTA가 유입되면 모든 납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Fe, Cu. Zn, Al과 같은 토양 내에 존재하는 주요 양이온이 EDTA 의 ligand site에 반응하기 위하여 Pb와 경쟁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납 추출을 위한 EDTA의 도입은 여러 음이온 용해도의 증가를 동반하여 토양내 금속의 용해도를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용해되어진 금속의 양은 유입된 EDTA 몰수에 최대 20배에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납오염된 토양에서의 EDTA를 이용한 납 추출은 토양내의 주요 양이온, 납의 종류(species)및 납의 결합 형태와 위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에는 EDTA의 납 추출효과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