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Stability of Garlic Bulbs

마늘의 품질안정성에 대한 저장조건의 영향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stored garlic bulbs during 9 months under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low-temperature condition (3${\pm}$1$^{\circ}C$, 80${\pm}$5% RH, LT), pit-temperature condition (9${\pm}$6$^{\circ}C$, 80${\pm}$5% RH,PT) and ambient-temperature condition (14${\pm}$11$^{\circ}C$, 67${\pm}$5% RH, AT). The internal sprout development was more significant in pit and ambient conditions than in low temperature and thus certain means for sprout control is required for long-term storage of garlic bulbs under such conditions. The rates of rotting and weight loss were appreciable especially after 7 months of storage (next March) in the order of PT, AT and LT, when external sprouts were observed in PT and AT. Moisture content of stored samples were relatively constant in LT until next May, but that in W and AT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next January. Total sugar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with the prolonged period, whereas an apparent increase was found in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and vitamin C along with external sprouting of garlic bulbs from the 7th month of storage (next March). Based on the results that around March is a limiting point in garlic storage at such conditions from the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oints of view, improved storage condition should be applied to overcome the storage barrier.

마늘의 저장조건을 저온(3$\pm$1$^{\circ}C$, 80$\pm$5% RH, LT), 움(9$\pm$6$^{\circ}C$, 80$\pm$5% RH, PT) 및 상온(14$\pm$11$^{\circ}C$, 67$\pm$5% RH, AT)으로 구분하여 9개월간 물리화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마늘의 발아율은 저온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움식 및 상온저장에서는 높게 나타나 이상의 조건에서는 발아억제 방안이 요구되었다. 마늘의 부패율은 저장 7개월 째인 이듬해 3월까지는 낮았으나 그 이후에는 저장조건에 상관없이 급격히 부패되었다. 마늘의 중량은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저장 온ㆍ습도의 변화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특히 외부발아와 더불어 줄어드는 경향이 심하였다. 저온저장에서 수분함량은 이듬해 5월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움식 및 상온저장에서는 이듬해 1월부터 상당히 감소되었다. 전당의 함량은 완만하게 감소되는 편이었으나 환원당 함량은 이듬해 3월부터 외부발아 현상과 비례하여 급격히 증가되었다. 마늘의 vitamin C 함량은 저장 중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이듬해 봄부터 발아현상과 더불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마늘의 저장은 이듬 3월경이 물리화학적 변화가 가장 왕성한 한계 시점이라고 생각되며, 이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저장조건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