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strial 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of Large Cities in Korea

지방대도시 산업구조와 산업경쟁력 분석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of five large cities in Korea. say Pusan, Taegu, Inchon, Kwangju, and Taejon. These cities are performing more important roles in this borderless society. Industrial competitiveness may not fully represent the competitiveness of a city, rather is one of the major constituents of urban competitiveness. The selected indices represent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a city include regional industrial share, location quotient, growth potential. productivity. profitability. The analyses reveal that all the five large cities are required the tasks for industrial restructuring in facing with the rapid deindustrialization trend. Inchon shows relatively competitive position in a number of industries, while the others are revealed weak in most categories of industries.

본 연구는 산업경쟁력을 도시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요인으로 파악하고, 경제의 탈국경화시대를 맞아 무한경쟁의 주체로 부각되고 있는 지방대도시의 산업구조와 산업경제력을 분석하였다. 산업경제력은 지역내 비중, 입지상계수, 성장성, 생산성 그리고 수익성의 지표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현재 산업경쟁력이 높은 주요산업을 선정하였다. 지방대도시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집중적으로 육성하여야 할 전략산업은 주요산업을 기본으로 하여, 산업환경의 변화, 도시발전방향 등을 참고하여 도출하였다. 지방대도시 산업구조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지방대도시 모두 탈공업화 추세에 직면하여 산업구조 조정의 과제를 안고 있으며, 산업경쟁력은 도시별로 상당한 차이가 드러났다. 인천은 견실한 산업경쟁력 하에서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의 발전가능성이 높고, 대전은 도시내 연구개발역량을 활용하는 전자, 통신산업 등의 성장이 예견되는 반면, 부산, 대구, 광주는 취약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요산업 고도화, 전략산업 육성 등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