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작물을 이용한 백하수오 생력재배

Labor-saving Cultivation of Cynanchum wilfordii using Support Crops

  • 발행 : 1999.09.01

초록

백하수오 재배시 지주설치 비용 절감 및 생력 재배기술 확립 목적으로 자소 등 6작물을 지주작물로 공시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주작물의 주당 분지수는 율무 7개, 자소 19개로 백하수오 덩굴유인에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하여 자소 97%, 율무 100%의 덩굴유인율을 보였다. 2. 백하수오의 지상부 생육은 자소, 수수재배에서 네트지주재배보다 만장이 길었고, 주당 분지수는 네트지주재배 6개에 비하여 자소, 율무, 수수 재배에서 1~2개 많았다. m$^2$당 엽중은 네트지주 재배시 1,001g으로 가장 많았고, 지주작물재배에서는 자소, 율무, 수수에서 614~636g이었다. 3. 백하수오의 지하부 생육은 땅콩, 자소재배에서 근장이 길었고, 지근수는 네트지주재배 8개에 비하여 땅콩, 자소재배 4개, 율무재배에서 6개였다. 4. 10a당 백하수오의 생근수량은 네트지주재배에서 919kg으로 가장 높았고, 지주작물재배간에는 자소 717kg, 율무 656kg, 수수 652kg으로 네트지주재배에 비하여 22~29% 감수되었다. 5. 백하수오 수량은 감수하나 지주설치 비용 절감 및 지주작물의 수확으로, 자소, 율무, 수수를 이용한 백하수오 생력재배가 가능하였다.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C. wilfordii cultivation using crop as a substitute for stake or net, and tested sit support crops, i.e., soybean, peanut,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Job's tears, sorghum, and corn compared with net support. Effects of support crops on growth and root yield of C. wilfordii were as follows. Attracting efficiency of vine showed 94∼100% among crops. The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was 1 or 2 more in p. frutescens var. acuta Kudo, Job's tears, and sorghum support than in net support. Fresh root yield per 10a was 919kg in net support, while it was 717kg in P. frutescens var. acute Kudo, 656kg in Job' tears, and 652kg in sorghum support. However, the problem of decreased yield in these support crops could be overcome by cost saving of staking installation and by harvesting support crops. Therefore, C. wilfordii cultivation using P. frutescens var. acute Kudo, Job's tears, and sorghum as support crops showed most effective in labor and cost saving.

키워드

참고문헌

  1. 약작지 v.4 no.2 백하수오 파종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최인식;손석용;조진태;박재성;한동호;정인명
  2. 약작지 v.6 no.2 백하수오 묘령에 따른 생육과 수량 최인식
  3. 약작지 v.3 no.2 작약에서 간작재배가 선충 밀도에 미치는 영향 추연대;김재철;황형백;박소득
  4. 농시논문집(작물) v.27 no.1 옥수수를 주작으로 한 감자, 고들빼기 간작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홍정기;이성열;민황기;김두열;한세기;허범량;이동우
  5.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백하수오 성분의 다중내성 조절작용 황방연
  6. 약작지 v.4 no.3 간작물이 작약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황형백;김재철;박소득;최부술;임주락
  7. 약작지 v.6 no.3 종근부위 및 지주형이 마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강동균;조지형;김상국;민기군;정상환;최부술
  8. 농업논문집 v.38 no.2 네트지주가 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권준국;김재철;박동금;이재한;손석용
  9. 농시논문집(작물) v.27 no.1 땅콩과 참깨 간혼작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효승
  10. 동양자원식물학회지 v.5 no.1 백하수오, 더덕, 고들빼기의 화학성분 이상래;이양수;신수철;윤의수
  11. 약초재배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