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집 유색미 계통의 형질특성 변이 및 주성분 분석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Collected Colored Rice Cultivars

  • 발행 : 1999.09.01

초록

유색미 수집계통의 농업적 특성을 조사, 분류하여 재배적 이용성 및 품종육성 재료로서의 정보자료를 얻기 위하여 2종의 국내 육성품종과 8종의 국내외 수집계통을 공시하여 이들 계통의 형질특성 및 형질특성간의 상호관계를 조사하고, 주성분의 고유치를 계산하고 각 주성분과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형질의 계통간 변이계수는 간장, 수당영화수, 등숙율, 수량, 숙기, 현미 종피 및 정조 종피색에서 다른 특성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주요 특성 중에서 출수기와 수당 영화수 및 현미 1000립중, 간장과 수장, 수장과 수당 영화수, 현미 1000립중과 종피색간에는 각각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출수기와 주당 수수, 간장과 주당 수수 및 현미종피색, 수량과 현미 종피색 사이에 는 각각 부(-)의 상관이 인정 되었다. 3. 주성분 분석결과 변량과 상관계수로 부터 12개의 주성분의 고유치를 얻었으며, 제1, 제2, 제3주 성분의 기여도는 0.275, 0.225, 0.180이었다. 제1주성분은 수수, 현미 1000립중 및 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여 식물체의 sink용량의 크기에 대한 변이를 설명해 주는 성분이었다. 그리고 제2주성분은 출수기 및 등숙기와 유의한 상관을 보여 품종의 조만성을 설명해 주는 성분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component of 10 collected colored rice cultivars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of using the agronomically usefull characters to provide information for colored rice breeding and cultivation.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of culm length, grains number, ripening rate, maturity time, and coat color of grain and seed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characters. The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heading dates, grain numbers per panicle, and 1000 grain weight, as well as between culm length and panicle length, panicle length and grain numbers per panicle, 1000 grain weight and darkness of seed coat color, while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heading dates and panicle numbers per hill, grain yield and seed coat color as well as among culm length, length, number per hill and seed coat color of brown rice, respectively. The first componen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sist of panicle numbers per hill, 1000 grain weight, and grain yield showing higher correlations among them which explained the variance of the sink size of respective cultivars. The second componen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sist of heading date, grain numbers per panicle and maturing date showing higher correlations among them which explained the variance of maturity of respective cultivars.

키워드

참고문헌

  1. 韓育誌 v.16 no.3 多 量解析法에 의한 참개의 品種群分類 安相洛
  2. 韓育誌 v.11 no.3 主成分 分析 및 Cluster 分析을 利用한 油菜品種分類 崔海春;李正日
  3. 한작지 no.41(별호) 유색미 색소의 종류와 기능 최해춘;오세관
  4. 韓作誌 v.18 水稻의 葉身別 生産效果에 關한 硏究 趙東三
  5. 農業及園藝 v.17 no.6 韓鮮に於ける-印度型稻の殘存 原史六
  6. 농시논문집(수도편) v.31 no.3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赤米種(샤레벼)의 생리생태적 특성 및 재배도와의 경합 김재철
  7. '97주요농작물 종자협의회 결과 농촌진흥청
  8. 한국농화학회지 v.39 no.4 유색미 안토시아닌계및 색소의 추출법 오세관;최해춘;조미영;김수언
  9. 농촌진흥청 특정연구보고서 쌀 소비확대를 위한 식미향상과 신소재개발 박순직;최해춘;허문회;고희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