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과속단속시스템의 교통안전개선 메커니즘 분석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s on Traffic Safety

  • 강정규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수석연구원) ;
  • 현철승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연구원) ;
  • 오세리 (U. C. Urvine)
  • 발행 : 1999.03.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설치가 확대되고 있는 자동과속단속시스템의 교통안전 개선 메커니즘을 밝히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시스템 운영이 교통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둘째, 교통류 특성 변수와 안전도와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1997년부터 운영된 32대 시스템의 1년간 운영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통사고 28%, 사망자수 60%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설치지점의 교통류 특성변화를 분석한 결과 평균속도, 속도분산, 짧은 차두시간 비율 등의 변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교통사고빈도와 교통류 특성 변수간의 회귀모형을 설정한 결과 평균속도, 속도분산, 과속교통량이 유의한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동과속단속시스템의 교통안전도의 개선 메커니즘은 (1)단속시스템 도입 $\longrightarrow$(2)교통류 특성 개선 $\longrightarrow$ (3)안전도개선이란 과정에 의하여 달성된다는 가설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ITS의 도입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며 동적 교통안전(operational traffic safety)이란 측면에서 교통안전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use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ASE) systems in Korea enables to enforce speed violation by National Police Agency. We have analyzed the mechanism of ASE systems on traffic safety throughout Korea. 1 The data collected on a 2km road-section of each 32 ASE stations during one rear period indicate significant safety improvement. The results were (a) a de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accidents of 28%, (b) a decrease in the number of fatalities of 60%. 2. The study also that ASE systems are effective to reduce average speed, speed variance, and short headway. 3. Based on the operational data collected at 15 locations, an aggregate safety prediction model is proposed as a multiple regressions form. The primary operational variables that appear to affect the frequencies of accident are : average speed, speed variance, and the number of vehicles exceeding 30km/h of posted speed limi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