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행목적별 수단별 통행시간가치도출 및 유의성 검정

VOT Derivation for Different Trip Purposes, Travel Modes and Testing of Their Significance

  • 김현 (경호기술단 교통계획부) ;
  • 오세창 (아주대학교 교통공학전공) ;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공학전공)
  • 발행 : 1999.03.01

초록

통행시간가치가 교통수단의 선택 및 교통계획의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 것으로 되어왔다. 통상, 통행시간가치에 있어서 업무와 비업무통행으로만 구분하여 연구되어진 반면, 본 연구는 다항로짓모형을 적용하는데 있어 통행목적에 따른 모형 구성변수에 있어 통계적신뢰성 및 모형의 적합도, 수정우도비, 교통수단선택의 행태특성을 반영하여 적중율의 동일성이 검정하였고, 또한 통행 목적별 수단별 시간가치 값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검정하였다. 한편, 구체적으로 제시된 결과로는, 첫째 교통수단선택의 효용함수를 정산결과 모형 I (통근+통학)의 경우 선정된 11개 변수는 유의수준 5%이내에서 높은 설명력이 나타나, 신뢰구간 95%에서 모형을 구성하는 변수의 통계적 신뢰성이 있음을 검정하였고, 둘째, 모형별 통행시간가치 도출결과 모형 I (통근+통학)의 경우 승용차 8,198원/시, 버스 639원/시, 지하철 1,083원/시이며, 모형II(업무)는 승용차 14,074원/시, 버스 1,219원/시, 지하철 1,062원/시로 산정되었으며, 모형III(통근)의 경우 승용차10.947원/시, 버스 972원/시, 지하철 987원/시로 산정되었다. 모형의 적합도에 있어서는 모형II가 가장 큰 값을 나타냈으며, 다음은 모형III, 모형 I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행 목적별 각 모형 상호간 적중율차이에 대한 동일성은 유의수준 5%이내에서 인정되어 예측력에 따른 통행시간가치의 변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통행시간 가치값의 도출에 영향을 미치는 통행시간, 승용차비용, 버스요금 지하철요금 등의 매개변수가 유의수준 5%에서 검정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된 만큼 통행목적 별 수단별 통행시간 가치값은 상호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향후 경제성 평가는 통행목적에 따른 수단별 통행시간가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수단선택모형의 매개변수 정산시에는 통행목적별 시간가치를 비교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요인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value of travel time (VOT) plays an important role both in choosing the transportation alternatives on an individual level, and in analyzing and evaluating transportation plans and other public policy makings on a collective level. There is, however, a great deal of difficulties to correctly estimate the VOT.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lots of methods to estimate the VOT so for, not many recommendations have been presented to reflect the localities associated with the VOT derivation in Korea. This study aims at deriving the VOT for different trip purposes and travel modes with their significances tested. To accomplish this purposes, a logit-based travel mode choice model based on revealed preference (RP) data has been formulated, calibrated using the discrete choice model of LIMDEP package for various trip purpose models. For each trip purpose and travel mode, the VOT has been calculated along with the significance testing of the derived VOTs. From the results given in this research, the VOTs for different purposes and modes are identified different, and the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updated results here in this paper may be a yardstick in evaluating the transportation plans and policies by providing more detailed VOT information for different categories, especially in urban context.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영통계학 김길평;강창교
  2. 투자심사편람(수송부문) 경제기획원
  3. 도시모형론 윤성순;윤대식
  4. 대한 교통학회지 v.2 no.1 Evaluating Value of Time for Travel Based on The Linear Logit Choice Model 유완
  5. 도시교통계획 이론과 모형 임강원
  6. 도시교통론 원제무
  7. 대한교통학회지 v.2 no.1 An Application of Multinomial Logit Model to Jongro Corridor Travellers 원제무
  8. 대한교통학회지 v.1 no.1 지하철노선의 대안설정과 평가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임승달;이인원
  9. 대한교통학회지 v.7 no.1 네스티드로짓모형을 이용한 쇼핑통행의 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이현구;조중래
  10. 時間價値の理論とその計測手法 日本交通政策硏究會
  11. やさしい非集計分析 日本交通工學學會(編)
  12. 非集計行動モテルの理論と實際 日本土木學會
  13.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v.X no.2 The Value of Commuter Travel Time Savings David A. Hensher
  14. TRB Special Report 201 Classification of Approach to Travel Behavior Analysis J. M. Golob
  15.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Ben-Akiva M.;S. R. Lerman
  16. Travel Behavior, Theories, Models and Prediction Methods Ben-Akiva M.;S. R. Lerman
  17. LIMDEP User's Manual Reference Guide Ver. 6.0 William H. Greene
  18. Modelling Transport Ortuzasr J. de D.;L. G. Willum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