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의 1일 통행수단선택 분석 및 모형의 시간이전성 검토

Analysis of Travel Modal Choice and the Temporal Transferability for Workers

  • 김대웅 (영남대학교 토목·도시·환경공학부) ;
  • 배영석 ((주)교통시스템연구소 소장) ;
  • 이명미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 발행 : 1999.12.01

초록

본 연구는 도시 내에서 비교적 안정된 통행패턴을 이루고 있는 취업자를 대상으로 대구광역시 사람통행실태 자료(1988년, 1992년)를 이용하여 취업자가 1일에 행한 복수통행 간의 상관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명확히 규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취업자의 교통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여 그 모형의 이전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취업자의 통행행태분석 결과, 통행패턴은 1일에 2통행의 피스톤형태로 비교적 단순하였으며, 교통수단선택패턴도 1일에 행한 복수통행 가운데 첫 번째 통행에서 이용한 수단을 최종 통행수단으로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수단선택모형의 추정결과 채택된 설명변수의 추정계수 및 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값을 나타내어 본 모형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끝으로, 구축된 모형의 적용성 검토로서 1988년과 1992년 모형의 시간적 이전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여러 지표들로부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어 본 모형의 시간이전성은 충분하다고 판단되어진다.

In this study, the trip characteristics of workers in the city ar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trip behaviors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workers are analyzed using Person Trip Survey Data of 1988 and 1992 in Taegu Metropolitan area. With the results of behavioral analyses, the daily travel pattern of workers is shown as one tour contained two trips and it is relatively simple and stable. Also the rate using the same mode in a day is Presented as high ratio. So,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choice of worker\`s first trip is fixed his/her travel mode for his/her daily travel mode. Based on these analyses, the mode choice model for workers is developed by applying the Multi-nominal Logit Model with the choice set of bus, taxi, and car.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this model include sex, age, auto, travel time, and cost. Empirical tests of the model show encouraging results. After that, the temporal transferability of the model is examined by the Pairwise t-test and five indexes far the model of 1988 and 1992. The results of examination are satisfied with each significance level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and five index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mporal transferability of this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resonable.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17 no.1 비취업자의 교통수단선택모형구축 및 시간이전성 검토 김대웅;배영석;김언동;권용운
  2. 대한교통학회지 v.13 no.4 개별형태 접근방법에 의한 교통수단선택 형태분석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배영석;김기혁;김경식;김언동
  3.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쇼핑통행의 목적지 및 교통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김영철
  4. 대한교통학회지 v.7 no.1 네스티드로짓모형을 이용한 쇼핑통행의 형태분석에 관한 연구 이현구;조중래
  5. 대한교통학회지 v.2 no.1 종로축 출근통행에 대한 로짓모형의 적용 원제무
  6.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개별형태에 의한 교통수단 선택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김언동
  7. A Theory of Activity Scheduling Behavior, Environment and Planing A v.13 Damm, D;Lermam, S.R.
  8. Transpn. Res. v.16 no.a-2 Parameters of Activity Behavior for Use in Tranel Analysis Damm, D.
  9. Time-Space constraints and the formation of trip chains. Regional Science and Economics v.17 Kitamura, R.;Kondo, K.
  10. Transpn. Res. v.13B A Theoretical and Empirical Model of Trip Chaining Behaviour Adler, R;Ben-Akiba, M.
  11. 博士學位論文, 名古屋大學 ツア槪念を 用いた 非集計交通需要豫測モデルに關する 硏究 裵永錫
  12. 대한교통학회지 v.14 no.4 개별형태모형을 이용한 통근인구의 교통행동분석에 관한 연구 배영석
  13. 대한교통학회지 v.15 no.4 통근통행자의 통행패턴 선택형태의 분석 윤대식
  14.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취업자의 통행특성 및 로짓모형에 의한 교통수단선택 형태분석 이명미
  15. 非集計行動ヒデルの理論と實際 日本土木學會(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