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족의 재산상속 의식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the Property Inheritance of the Korean Family

  • 김양희 (중앙대학교 인간생활환경학과)
  • 발행 : 1999.06.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a difference the individual family value and relationship make on the inheritance consciousness by focussing on right succeed property among the inheritances rights of family.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about 450 married person with children over 40 year and among them 384 cases are used in final analysis. Inheritance consciousness of the Korea family shows that the property inheritances to greatly different from the inheritance the family head rituals according to consciousness of the individuals. That is to say the succession of the property is decided by inheritances of the individuals where-as these of the family head and rituals are done by the family norm. such results tend to be made due th the fact that Koreans think of a duty to father a son and make him succeed th the heat of the family on the basis of the strong blood tie of the family that Koreans think t important to keep their family fame and to contain the fam ly existence I. e. they respect their patriarchal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가족제도연구 김두헌
  2.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v.33 no.1 개정가족법의 특징과 약간의 문제 김용구
  3. 한국사연구 v.36;37 고려시대 음서제의 실제와 그 기능(上),(下) 김용운
  4. 전북사학 v.2 상속형태를 중심으로 본 고려시대 자녀의 지위 김은파
  5. 가족법연구 no.7 가족법의 현황과 과제 김주수
  6. 고려시대사 박용운
  7. 건국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리 나라의 상속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서상권
  8.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공동상속의 법적구조에 관한 연구-한국공동상속법의 성격조명을 위하여 신영호
  9.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한국의 공동상속제도에 관한 연구: 상속재산의 분할과 관련하여 오경희
  10.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 고대 재산상속제도에 관한 연구 유혜종
  11. 한국학보 v.3 조선시대의 재산상속 이광규
  12. 韓國史新論 이기백
  13.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상속법의 성문화과정 이상욱
  14.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고려시대 여성의 토지 · 노비 상속에 대한 고찰 이숙향
  15. 한국사연구 v.41 고려의 재산상속형태에 관한 一考察 이의권
  16.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려시대 상속제에 관한 연구 임연숙
  17. 한국가족법연구 鄭光鉉
  18. 동아대 석사학위 논문 고려시대의 상속제도에 관한 연구 정기호
  19. 한국사회학 미국내 한국계 이민자의 재산상속에 관한 연구 조정문
  20. 한국가족제도연구사. 한국문화사대계 Ⅳ. 풍속 · 예술사 최재석
  21. 한국사연구 v.35 高麗朝에 있어서의 토지의 자녀균분상속 최재석
  22.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최재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