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L을 이용한 Access Network의 Architectures, Interfaces 및 Protocols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ADSL은 일반 가정이나 SOHO에서 Internet access나 Remote LAN Access와 같은 application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제 2장에서는 CPN에서의 configuration, usage scenario를 알아보고 splitter configuration들과 PDN, SM, TE간의 interface가 어떻게 정의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central office의 configuration을 간단히 살펴보고, DSLAM 및 service provider network의 requirement들을 알아보았다. 제 4장에서는 원활한 network adaptation 및 service를 위한 Frame based 및 ATM based ADSL architecture들에 대해 언급하고 가능한 protocol stacks들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또한 home network이나 corporate network에서 필요한 tunneling protocol이나 firewall의 구현가능성도 검토하였다. 현재 이러한 내용들이 ADSL Forum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나, UADSL을 비롯한 ADSL의 대규모 설치에 따른 field trial 및 service를 통해 장단점이 검증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앞으로 $1\sim2$년 후에나 좀더 효율적인 ADSL architecture, interface 및 protocol이 표준모델로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