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Optimum Reaction Conditions for Pyrolytic Coprocessing of Waste Plastics with Waste Motor oil by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통계적 실험계획에 의한 폐플라스틱/폐유의 최적 열분해 반응조건 결정

  • Yoon, Wang-Lai (Conversion Process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Park, Jong-Soo (Conversion Process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Jung, Heon (Conversion Process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Lee, Ho-Tae (Conversion Process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Ko, Sung-Hyuk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Sung-Hyun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윤왕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환공정연구팀) ;
  • 박종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환공정연구팀) ;
  • 정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환공정연구팀) ;
  • 이호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환공정연구팀) ;
  • 고성혁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 ;
  • 김성현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
  • Published : 1999.02.01

Abstract

범용 열가소성 플라스틱(polyethylene(PE), polypropylene(PP), polystyrene(PS), polyethylene-terephthalate(PET), acrylonitrile-butandiene-styrene(ABS))과 폐윤활유의 동시처리 열분해반응 실험을 수행하였다. 반응실험은 40$m\ell$ 용량의 회분식 미분반응기(microreactor)를 이용한 실험과 1리터 용량의 autoclave를 이용한 실험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행하였다. 전자의 경우는 통계적 실험적계획법(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의 하나인 회전계획실험(rotatable design experiments)으로서 오각형 실험계획(pentagonal experimental design)에 의거한 반응변수 실험을 수행한 후 반응표면(response surface)을 회기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함으로써 최대의 오일 수율을 얻을 수 있는 최적 반응조건을 추적, 결정하였다. Autoclave 반응실험의 기본적인 목적은 실제 연속공정에 있어서 열분해 반응기 거동을 모사하기 위한 전초단계로서 충분한 시료의 확보를 통하여 이 때 생성된 연로유의 체계적인 분석(비등점분포특성, 진공증류, 기체분석, 원소분석, 발열량, 비중 등)을 행함으로써 연료유 수율 및 품질을 모사하고자 하였다. 미분반응기 실험에 있어서 주 범용열가소성수지인 PE, PP 그리고 PS는 각각의 최적반응조건하에서 거의 100%에 가깝게 오일로 전환되었지만 응축수지인 PET와 그래프트공중합수지인 ABS의 오일수율은 각기 78% 및 90%로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Autoclave를 이용한 실험의 경우 혼합플라스틱을 폐유에 대하여 40wt% 혼합하여 열분해하였을 때, 80wt% 오일, 15wt% 코우크, 그리고 나머지 5wt%는 탄화수소기체(C1-C6)로 전환되었다. 진공증류(252$^{\circ}C$,2 torr) 결과, 기/액-분리도는 3으로서 이는 생성오일의 75wt%가 경질연료유(가솔린, 등유, 경유)로 회수 가능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