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and Evolution of the Myeonbongsan Caldera in Southern Cheongsong, Korea

청송남부 면봉산 칼데라의 유형과 진화

  • 황상구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 김성규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he Myeonbongsan caldera, 10.2X8.0 km, developed within older sequences of sedimentary formations and intermediate composition volcanis in the southern Cheongsong area. Volcanic rocks in the caldera block include lower intermediate volcanics, middle tuffaceous sequences and upper silicic ones. The silicic volcanics, which is named Myeonbongsan Tuff, are composed of crystal-rich ash-flow tuff(300 m) , bedded tuff(30 m) and pumice-rich ash-flow tuff(700 m) in ascending order. Several intrusions dominate the early sequences within the caldera. The caldera collapsed in a trapdoor type when silicic ash-flow tuffs erupted fro major vent area in the caldera. Normal faulting along a ring fault system except the southwestern part dropped the tuffs down to the northrase with a maximum displacement of about 820 m. The Myeonbongsan Tuff is just about 1,030 m thick inside the northeastern caldera, with its base not exposed, and southwestward thinning down. Rhyolitic plug and ring dikes are emplaced along the central vent and the caldera margins, and the ring dikes are cut by plutonic stocks in the southeastern and northwestern parts. The caldera volcanism eviscerated the magma chamber by a series of explosive eruptions during which silicic magma was erupted to form the Myeonbongsan Tuff. Following the last ash-flow eruption, collapse of the chamber roof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the Myeonbongsan caldera, a subcircular trapdoor-type depression subsiding about 820 m deep. After the collapse, stony to flow-banded rhyolites were emplaced as circular plugs and ring dikes along the central vent and the caldera margins respectively. Finally after the intrusions, another plutons were emplaced as stocks outside the caldera.

면봉산 칼데라는 경상북도 청송군 남부에서 백악기 퇴적암류와 중성 화산암류 속에 직경 10.2$\times$8.0km 의 크기로 존재한다. 면봉산 칼데라 지역은 하부의 중성 화산암류, 중부의 응회질 퇴적암과 상부의 면봉산응회암으로 구성된다. 칼데라를 형성케 한 면봉산응회암은 하부 회류응회암, 층리응회암과 상부 회류응회암으로 나누어지며, 칼데라 북동부에서 최고 1,030m의 두께이고 남서부로 갈수록 얇아진다. 면봉산 칼데라는 칼데라 북측에서 최고 820m 내려앉았고 남서측에서 함몰되지 않은 비대칭 칼데라로 분류된다. 본 칼데라는 면봉산 지역에서 폭발적인 회류 분출로 인해 마그마챔버의 지붕이 갑자기 함몰됨으로서 형성되었다. 칼데라 연변부의 환상단열대는 유문암이 맥상으로 관입되고 칼데라 중앙부는 유문암이 플러그상으로 관입되었다. 그리고 환상단열대의 남부와 북서부는 심성암류의 관입에 의해 잘려 있다. 이와 같은 증거들을 종합하면, 면봉산 칼데라는 기하학상 뚜컹문형 칼데라로 분류되고 하나의 칼데라 윤회를 따르는 진화를 밟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지질도 도평도폭 권영일;이인기
  2. 한국지질도 기계도폭 오인섭;정국성
  3. 한국지질도 신령도폭 원종관;윤선;소칠섭
  4. 지질학회지 v.29 의성분지 중앙부 금성산화산암복합체의 화산활동과 콜드론구조 윤성효
  5. 한국지질도 구산동도폭 장기홍;고인석;이재영;김상욱
  6. 1999년도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의성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의 암석학적 및 암석화학적 연구 최원희;좌용주
  7. 한국지질도(1/1,000,000) 최위찬;김규봉;홍승호(외 7인)
  8. 지질학회지 v.34 양산서부 원동 칼데라의 진화와 유형 황상구
  9. 지질학회지 v.34 밀양남부 삼랑진 칼데라의 유형과 진화 황상구
  10. 지질학회지 v.28 양산칼데라의 규질 화산작용 황상구;김상욱
  11. 한국암석학회 제6차 학술발표회 요약집 청송남부 면봉산 일대의 화산지질과 칼데라구조 황상구;김성규
  12. Structural geology(2nd ed.) Billings, M.P.
  13. Structural geology(3nd ed.) Billings, M.P.
  14. Volcanic successions Cas, R.A.F.;Wright, J.V.
  15. Nature v.310 On the formation of calderas during ignimbrite eruptions Druitt, T.H.;Sparks, R.S.J.
  16. J. Geol. Soc. Korea v.26 A downsag caldera associated with the Chisulryoung volcanic formation, near Kyeongju city, southern Korea Park, K.H.
  17. Geology v.9 Descriptive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pyroclastic deposits and fragments: recommendations of the IUGS Subcom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Schmid, R.
  18. Studies in Volcanology Resurgent cauldrons Smith, R.L.;Bailey, R.A.;Coats(et al. ed.)
  19. Colorado. J. Geophys. Res. v.89 Evolution of the early Oligocene Bonanza caldera, northeast San Juan volcanic field Varga, R.J.;Smith, B.M.
  20. Volcanology Williams, H.;McBirney, 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