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GIS for Runoff Simulation in Ungaged Basin(I): Selection of Soil Map and Landuse Map

미계측 유역의 유출모의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응용(I) :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선정

  • Kim, Gyeong-Tak (Senior Researcher,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Research Div., Korea Inst.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Sim, Myeong-Pil (Dept.of Civi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Published : 1999.04.01

Abstract

Hydrology-based topographical informations generated by GIS techniques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base map, algorithm of extraction,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SCS CN extracted by GIS technique and to propose the effective strategy for applying GIS to the rainfall-runoff simulation in ungaged basin. For experimental implementation, GIS spatial data, such as reconnaissance soil map, detailed interpretative soil map, landuse planning map and remotely sensed data(Landsat TM), were collected and generat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effective rainfall in Pyungchang river basin. In applying SCS Runoff Curve Number to the test basin, the hydrological attribute data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respons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GIS spatial data for SCS CN were reviewed. This study shows the applicability of GIS techniques to runoff simulation in ungaged basin by comparing with the measured flood hydrograph.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tained interpretative soil map and remote sensing data are appropriate for calculating of SCS CN.

GIS기법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수문지형정보는 기존 주제도의 선정, 사용된 알고리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선정에 따른 유출수문곡선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미계측 유역의 강우유출모의에 효과적인 GI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계측 유역에서의 유효강우량 산정에 필요한 GIS 공간자료(개략토양도, 정밀토양도, 토지이용계획도,위성영상)를 구축하였다. 미국 토양보존국(SCS)의 유출곡선번호(runoff curve number; CN)방법의 적용을 위한 수문학적 속성의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SCS CN값 산정을 위한 GIS 공간자료의 선정에 따른 유출응답특성을 검토하였다. 실측 수문곡선과의 검증을 통해 미계측 유역에서의 강우유출모의에서 GIS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S CN값을 산정하기 위한 GIS 공간자료로서는 정밀토양도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건설부
  2. 국제수문개발계획 대표유역 수문자료집 건설부
  3. 하천시설기준 건설부
  4. 정밀토양해설도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5. 증보 한국토양총설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6. 개략토양도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7. 한국수문학회지 v.10 no.1 정밀계측된 소유역의 강우 및 유출 특성 선우중호;윤용남;심순보;이순탁
  8. 한국수자원학회지 v.31 no.1 지리정보시스템과 결합된 강우 · 유출모형의 적용 심명필;김경탁
  9. 공업수문학 윤용남
  10.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중소유역의 유효강우량 산정을 위한 SCS 곡선번호방법의 적용성연구 윤태훈
  11. 평창강(준용하천) 하천정비기본계획 평창군
  12. 건기연 91-WR-111 평창강유역의 수문특성조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3. 경인운하의 안정적 주운을 위한 수리 · 수문학적 분석 연구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4.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수문지형정보 추출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함창학
  15. 농공기술 v.4 no.4 한국토양의 수문학적분류 및 그 응용 허기술;정정화
  16. Water Resources Bull. v.30 no.1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cedure to quantify drainage basin characteristics David, A.E.
  17. WMS v5.0 Reference Manual and Tutorials ECGL
  18.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54 no.11 Extracting topographic structure form digital elevation data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Jenson, S.K.;Domingue, J.O.
  19. Water Resources Research v.22 no.1 Topographic partition of watershed with digital elevation model Lawrence, E.B.
  20. Proceed. of the ASP Digital Terrain Models Symposium Th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Peucker, T.K.;Powler, R.J.;Little, J.J.;Mark, 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