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형 세라믹 한외여과막을 사용한 폐수처리 및 재활용기술개발 : 1, 주기적 역세척 효과

Development of Wastewater Treatment and Recycle Technology Using a Tubular Ceramic Ultrafiltration Membrane 1, Effect of Periodic Backflushing

  • 발행 : 1999.09.01

초록

폐수를 한외여과할 경우 발생하는 막오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세척수로 주기적으로 역세척 하였을 때 그 효과와 최적 조건을 조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폐우우유팩을 재셍히여 화장지를 생산하는 A 회사 및 골판지를 재생하는 B회사의 응집 침전 처리수를 대상으로, 평균기공의 크기가 0.02${\mu}m$인관형 알루미나 세라믹 한외여과막으로 처리하면서 역세척 주기의 변화가 막오염과 투과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대 역세척 시간은 모든 경우에 3초식 일정하게 행하였다. 원수 및 투과수의 부유 고형물 및 총용존 고형물,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분석한결과, A회사의 폐수는 역세척 주기가 15초로 가장 짧은 경우 부유 물질의 배제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배제율은 A회사 및 B회사의 폐수가 모두 역세척 주기가 30인 경우 가장 높았다. 한편, 총용존 고형물의 배제율은 A회사 폐수가 역세척 주기 30초와 60초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고, B회사 폐수가 역세척 주기 60초에서 가장 탁월하였다. 운전시간에 다른 투과 플럭스의 변화로 역세척이 막오염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A회사 및 B회사의 응집 침전 처리수 모두 역세척을 하였을 때 투과플럭스가 서서히 감소하였고, 정상 운전시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가장 높은 투과플러스를 유지하는 조건은 A회사 폐수와 B회사의 폐수가 차이를 보였는데 수질조사 결과 A회사 폐수는 부유 고형물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이 높았으나 B회사 폐수는 종용존 고형물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로 추정된다.

A periodic backflushing was performed to reduce the membrane fouling of ultrafiltration for wastewater, and the effect and the optimum conditio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lumina¬ceramic tubular membrane with pore size of 0.02${\mu}m$ was used for the wastewater treated by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from two paper plants, of which A plant made toilet paper by recycling milk paper cartons and B plant recycled corrugated cardboards. And the effect of periodic backflushing to membrane fouling and quality of permeate were studied with a constant backflushing time of 3 sec. As results of measuring SS, TDS, and COD of source and permeate, the rejection rate of SS showed the highest value at the backflushing period of 15 see, which was the shortest time in these experiments, in case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plant. However, the rejection rate of COD had the highest value at the period of 30 sec for wastewater from both A and B plant. Then, the rejection rate of TDS was almost same at 30 and 60 sec for A plant wastewater, and the highest at 60 see for B plant. The effect of periodic back¬flushing to membrane fouling was investigated by change of permeate flux according to operating time. The permeate flux decreased slowly at the operation with backflushing, and was higher compared with that without backflushing in both case of A and B wastewater. But, the optimum period with the highest flux of A wastewater was different from that of B, because SS and COD of A was higher than those of Band TDS of B was higher than that of A.

키워드

참고문헌

  1. Water Research v.31 J. A. Scott;K. L. Smith
  2. Ind. Eng. Chem. Res. v.35 F. Gadelle;W.J. Koros;R.S. Schechter
  3. J. Membrane Sci. v.118 D. Si-Hassen;A. Ould-Dris;M. Y. Jaffrin;Y. K. Benkahla
  4. J. Membrane Sci. v.93 F. F. Nazzal;M. R. Wiesner
  5. 막분리의 기초 한국막학회(편)
  6. 산업폐수처리공학 임재명;신항식;정재춘;이남훈;민병헌;이상호
  7. 화학공학 v.27 박진용;최창균;김재진
  8. 화학공학 v.30 박진용;최창균;김재진
  9. J. Membrane Sci. v.97 J. Y. Park;C. K. Choi;J. J. Kim
  10. J. Membrane Sci. v.157 C. K. Choi;J. Y. Park;W. C. Park;J. J. Kim
  11. 대한환경공학회지 v.21 장진호;노수홍
  12. 멤브레인 v.8 김종표;전명석;김재진;정건용;전성덕
  13. 수질오염 폐기물 공정시험방법(3판) 환경처(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