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Analysis on the Restoration of Sinus Rhythm Following Mitral Valve Surgery

승모판 수술 후 동율동 회복에 관한 임상분석

  • 백완기 (인하대학병원 흉부외과) ;
  • 심상석 (인하대학병원 흉부외과) ;
  • 김현태 (인하대학병원 흉부외과) ;
  • 조상록 (인하대학병원 흉부외과) ;
  • 진성훈 (서울 강남병원 흉부외과)
  • Published : 1999.04.01

Abstract

Background: The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with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is frequently converted to sinus rhythm after the mitral valve surgery. This sinus restoration implie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not only helps postoperative convalescence in patients with unstable hemodynamics but also reduces the rate of postoperative thromboembolism. Material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84 patients who received mitral valve surgery from June 1986 to December 1996 to investigate the trend of rhythm change following mitral valve surgery and thus to clarify the predisposing factors of postoperative sinus rhythm conversion and its maintenance. Result: The sinus rhythm was restored after the operation in 54 out of 139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preoperatively(38.8%). However, the atrial fibrillation recurred in 41 patients at the time of discharge showing a recurrence rate of 75.9 percent. The mean duration of sinus rhythm in patients with eventual atrial fibrillation recurrence was 8.2${\pm}$5.9 days. Only 15 patients were in sinus rhythm at the time of late follow-up with the mean follow-up period of 84.4${\pm}$34.7 months. While the age, duration of symptoms, duration of atrial fibrillation, left atral size, and pulmonary artery pressure were thought to be the predisposing factors for sinus conversion after the operation, only the duration of atrial fibrillation and ejection fraction were considered risk factors for the recurrence of the atrial fibrillation following sinus convers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arly operation is mandatory for the satisfactory result regarding postoperative rhythm. Moreover, additional operative measure in adjunct to the intervention of mitral valv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maintenance of restored sinus rhythm as reflected by high postoperative recurrence rate of atrial fibrillation.

승모판막 질환에 흔히 동반되는 심방세동은 판막수술 후 종종 동율동으로 전환되어지는데 수술 후 동율동의 유지는 술후 불안정한 혈역학을 보이는 환자의 회복에 매우 중요할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술후 혈전색전증의 발생 빈도를 떨구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986년 6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성남 인하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된 후천성 판막질환 환자에서 승모판막 수술이 포함된 환자 중 184례를 대상으로 술전과 술후 심장율동의 양상 및 변화를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관찰 분석하여 술후 동율동으로의 전환과 이의 유지에 관련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술전 율동이 심방세동이었던 환자 139례 중 술후 54례가 술후 동율동으로 전환되어 38.8%의 전환율을 보였으나 퇴원시를 기점으로 41례의 환자에서 다시 심방세동이 재발하여 75.9%의 재발율을 보였다. 심방세동이 재발한 환자들의 평균 동율동 유지기간은 8.2$\pm$5.9 일이었다. 또한 만기추적시 15례의 환자만이 동율동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84.4$\pm$34.7개월이었다. 환자의 연령 및 증상의 기간과 술전 심방세동의 기간, 좌심방 크기 및 술 전 폐동맥압이 술후 동율동의 유지에 관련인자로 생각된 반면, 술전 심방세동의 기간 및 박출계수만이 심방세동 재발의 위험인자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 술후 동율동으로의 전환 및 유지의 빈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조기수술이 강력히 요망되며, 더 나아가 본 연구의 높은 심방세동의 재발율이 \ulcorner사하는 바와 같이, 판막수술에 더불어 심방세동에 대한 적극적인 수술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ner1례등이 있었다. 결과: 수술사망은 2례로 조기사망률은 6.7%였다. 수술생존자 28명중 4명은 장기추적관찰이 불가능하였으며, 총 2091환자.월(평균 74.7$\pm$68.4개월, 최장 187개월)동안 관찰하였다. 이 기간중 판막의 혈전, 혈전색전증 및 항응고치료에 따른 출혈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나, 조직판막을 이용한 10례중 8례에서 술후 평균 87.1$\pm$23.6개월에 판막기능부전으로 재수술하였으며(이중 2례는 타 병원에서 수술함), 기계판막을 치환한 1례에서 판막주위누출과 감염으로 술후 3개월째 재수술하였다. 재수술시 사망례는 없었다. 만기사망은 1례로 방실중격결손증 교정술후 잔존 승모판폐쇄부전으로 승모판치환술을 받은 7세환아로 판막치환술후 4개월에 확장성심근염으로 사망하였다. 조직판막의 경우 생명표분석에 의한 판막실패가 없는 장기누적률은 6년째 75.0%, 7년째 50.0%, 8년째 12.5%의 기록을 보여 술후 6년에서 8년에 걸쳐 격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사망 2례를 제외한 28명의 장기생존률을 Kaplan-Meiyer법에 의해 분석하였을때 4개월째 생존률이 96.0%로 그 이후로는 사망례가 없었다. 결론:이상의 결과로 보아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술후 적절한 추적관찰이 행해질 경우 항응고요법에 따른 합병증은 거의 없으나, 5세이하 소아나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한 경우는 위험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지표들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고(p>0.05), 육안적으로 광배근을 관찰하였을 때 그룹 A에서는 광배근의 유착 및 염증소견이 모두에서 있었고 그중 2마리에서는 광배근의

Keywords

References

  1. Ann Intern Med v.69 Relation of left atrial pathology to atrial fibrillation in mitral valvular disease Bailey GWH;Braniff RA;Hancock EW;Cohn KE
  2. Ann Intern Med v.52 Course of mitral stenosis without surgery: Ten- and twenty-year perspectives Rowe JC;Bland EF;Spragua HB;White PD
  3. Circulation v.45 Natural history of mitral stenosis: A review Selzer A;Cohn KE
  4. 대한순환기학회잡지 v.11 승모판막질환에서의 심초음파도적 소견 남상학;신동호;손낙지(등)
  5. 대흉외지 v.17 심장판막 치환 환자의 심전도적 술후 추적 김종환
  6. Circulation v.53 Relation between echocardiographically determined left atrial size and atrial fibrillation Henry WL;Morganroth J;Pearlman AS(et al)
  7. Circulation v.35 Cardioversion following prosthetic mitral valve replacement Semer H;Hultgren H;Kleiger R;Braniff B
  8. Br Heart J v.29 Electrical reversion of cardiac arrhythmias Lown B
  9. Circulation v.48 Left atrial size and atrial fibrilliation in mitral stenosis: factors influencing their relationship Probst P;Goldschlager N;Selzer A
  10. Am Heart J v.59 Effects of atrial fibrillation upon the circulation in pateints with mitral stenosis Selzer A
  11. Ann Thorac Surg v.56 A perspective of postoperative atrial fibrillation in cardiac operations [Editorial] Cox JL
  12. J Cardiovasc Surg v.15 The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left atrial thrombi in mitral valve surgery Verska JJ;Ludington LG;Walker WJ;Mundall S;Brewer LA
  13. 대흉외지 v.26 승모판막 수술후 동율동 유지에 대한 Quinidine의 효과 윤태진;홍종면;백완기;안혁;채헌;노준량;김종환
  14. Br Heart J v.32 Long term follow up of ditect current cardioversion after cardiac surgery with special reference to quinidine Gunning JF;Kristinsson A;Miller GM;Saunders K
  15. Ann Intern Med v.62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surgical repair of the mitral valve Selzer A;Kelly JJ;Gerbode F(et al)
  16. Br Heart J v.30 Long term results of D.C. cardioversion of atrial fibrillation Radford MD;Evans EW
  17. Am Heart J v.104 Cardioversion of atrial fibrillation: Consideration of embolization, anticoagulation, prophylactic pacemaker and long term success Mancini CBJ;Goldberger AL
  18. J Thorac Cardiovasc Surg v.80 Left atrial isolation: new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supraventricular arrhythmias Williams JM;Ungerleider RM;Lofland GK;Cox JL
  19. Circulation v.72 no.SUP. 3 Combined sino-atrial node atrio-ventricular node isolation: a surgical alternative to His bundle ablatio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bstract] Guiradon GM;Campbell CS;Jones DL;McLellan JL;McDonald JL
  20. Ann Thorac Surg v.56 Five-year experience with Maze Procedure for atral fibrillation Cox JL;Boineau JP;Schuessler RB;Kater KM;Lappas D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