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 Spatial Analysis of Shigellosis

세균성 이질의 탐색적 공간분석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세균성 이질은 국내 제1종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질환으로서 1998년 이후 그 발병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3월 부산시 사상구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들의 발병 시점과 장소의 분포패턴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환자분포의 특징적 공간패턴과 그들의 시계열적 확산 양상 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론은 보건지리학과 지도학 및 공간통계학에 기반을 둔 공간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해당 지역의 수치지형도, 지적도, 인구 센서스 자료를 포함한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인구분포를 감안한 밀도구분도를 바탕으로 개별환자의 위치자료와 동 단위로 집계된 자료를 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기법을 달리하였으며, 환자 발생 밀도, 상대적 위험지수 등을 지도화하여 역학자료의 시각적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환자분포의 공간적 중심위치와 분산의 변화 등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제1차 공간속성을 커널추정법으로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공간적 의존성’과 관련된 제2차 공간속성은 K-함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군집성 등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학조사시 GIS의 활용사례가 제시되었으며, 모집단 인구를 고려한 확률지도 작성 기법과 다양한 데이터 가시화 방법, 그리고 시계열별 발생 환자들의 지리적 변이를 분석 하는데 따르는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Interactive Spatial Data Analysis Bailey,T.;Gatrel,A.
  2. Cartography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v.19 Hexagon mosaic maps for display of univariate and bivariate geographical data Carr,D.(ed.);Olsen,A.(ed.)
  3. Shigellosis CDIIS
  4. Visualizing Data Cleveland,W.
  5. Atlas of Disease Disease Distribution: Analytic Approaches to Epidemiological Data Cliff,A.;Haggett,P.
  6. Spatial Processes: Models and Applications Cliff,A.;Ord,J.
  7. Statistics for Spatial Data Cressie,N.
  8.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v.52 Spatial Clustering for Inhomogeneous Population Cuzick,J.;Edwards,R.
  9. The Added Valu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Public and Environmental Health De Leppper,M.(ed.);Scholten,H.(ed.);Stern,R.(ed.)
  10. Shigellosis: General Information DisWeb
  11. Shigellosis Alert in Pusan Dong-A IIbo
  12. ArcView GIS v. 3.1 Refernce Manual ESRI
  13. Transactions v.21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in geographical epidemiology Gartel,A.;Bailey,T.;Diggle,P.;Rowlingson,B.
  14. Spatial Analysis and GIS Saptial point process modeling in a GIS environment Gartel,A.;Rowlingson,B.
  15. Quantitative Techniques in geography: An Introduction Hammond,R.;McCullagh,P.
  16. GIS and Health Statistical methods for spatial epidemiology: test for randomness Kulldorff,M.
  17. S-Plus v. 4.5 User's Manual MathSoft
  18. Geographical Aspects of Health McGlashan,N.(ed.);Blunden,J.(ed.)
  19. The Standard for Korean National Digital Base Maps Ministry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MIT)
  20. Statistics in Geography: an Inferential Approach Norcliff,G.
  21. Journal of Applied Probability v.13 The second-order analysis of stationary point processes Ripley,B.
  22. Spatial statistics Ripley,B.
  23. Elements of Cartography(fifth edition) Robinson,A.;Sale,R.;Morrison,J.;Muehrcke,P.
  24. Statistics in Epidemiology Sahai,H.;Khurshid,A.
  25. Density Estimation Silverman,B.
  26. On the Mode of Commucication of Cholera;Reproduced in 1965 Snow on Cholera Snow,J.
  27. Principles and Pratice of Public Health Surveillance Teutsch,S.;Churchill,R.
  28. Geomedical Systems: Intervention and Control Thomas,R.
  29. Spatial Data Analysis by Example v.1 Upton,G.;Fingleton,B.
  30. Smoothing Crime Incident Data: New Methods for Determining the Bandwidth in Kernel Estimation Williamson,D.(ed.);McLafferty,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