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MPv3 Security Module Design and Implementation Using Public Key

공개키를 이용한 SNMPv3 보안 모듈 설계 및 구현

  • 한지훈 (명지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
  • 박경배 (여주대학 전산정보처리학과) ;
  • 곽승욱 (명지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
  • 김정일 (명지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
  • 정근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
  • 송인근 (우송대학교 전자공학과) ;
  • 이광배 (명지대학교 전자공학과) ;
  • 김현욱 (명지대학교 전자공학과)
  • Published : 1999.01.01

Abstract

Uses can share information and use resources effectively by using TCP/IP-based networks. So, a protocol to manage complex networks effectively is needed. For the management of the distributed networks, the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has been adopt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in 1989, and the SNMPv2 in which a security function was added was published in 1993. There are two encryption schemes in SNMPv2, the one is a DES using symmetric encryption scheme and the other is a MD5(Message Digest5) hash function for authentication. But the DES has demerits that a key length is a few short and the encryption and the authentication is executed respective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r use a RSA cryptography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tems related with SNMP. In addition to DES and MD5 propose in SNMPv3, we chance security functionality by adopting RSA, a public key algorithm executing the encryption and the authentication simultaneously. The proposed SNMPv3 security module is written in JAVA under Windows NT environment.

TCP/Ip 기반하의네트워크 사용으로 많은 사용자들은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복잡해진 망 구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되었다. 1989년 분산된 네트워크의 망 관리를 위하여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가 표준으로 채택되었고 그후 보안 기능이 추가된 SNMPv2에서 제공하는암호화 방식은 대칭형 암호화 방식인 DES(Data Encryption Standard)와 인증 (Authentication)을 위한 MD5(Message Digest 5) 해쉬 함수이다. 그러나 DES는 키 길이의 취약성과 암호화 및 인증 알고리즘이 분리되어 수행되는 단범을 가진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본 논문의 보안모듈에서는 RSA 공개키 방식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SNMP와 관련된 사항들에 대해 고찰한 후, 표준 SNMPv3에서 제안하는 암호화 알고리즘 DES와 인증을 위한 MD5방식과 더불어 암호화와 인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개키 방식인 RSA를 적용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하였다. 제안한 SNMPv3의 보안 모듈은 JAVA 언어로 구현하였으며 Windows NT 환경에서 실험되고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