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Daily Maximum/Minimum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전국 일 최고/최저기온 공간변이의 추정

  • 신만용 (국민대 산림자원학과) ;
  • 윤일진 (경희대 생명자원과학 연구원) ;
  • 서애숙 (기상청 수원기상대)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The use of climatic information is essential in the industial society. More specialized weather servies are required to perform better industrial acivities including agriculture. Especially, crop models require daily weather data of crop growing area or cropping zones, where routine weather observations are rare. Estimate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aily climates might complement the low density of standard weather observation st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aily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in Korean Peninsula. A topoclimatological technique was first applied to produce reasonable estimates of monthly climatic normals based on 1km $\times$ 1km grid cell over study area. Harmonic analysis method was then adopted to convert the monthly climatic normals into daily climatic normals. The daily temperatures for each grid cell were derived from a spatial interpolation procedure based on inverse-distance weighting of the observed deviation from the climatic normals at the nearest 4 standard weather stations. Data collected from more than 300 automatic weather systems were then used to validate the final estimates on several dates in 1997. Final step to confirm accuracy of the estimated temperature fields was comparing the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brightness temperature fields derived from NOAA/AVHRR. Results show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estimated and the observed temperatures at 20 randomly selected automatic weather systems(AWS) range from -3.$0^{\circ}C$ to + 2.5$^{\circ}C$ in daily maximum, and from -1.8$^{\circ}C$ to + 2.2$^{\circ}C$ in daily minimum temperature. The estimation errors, RMSE, calculated from the data collected at about 300 AWS range from $1.5^{\circ}C$ to 2.5$^{\circ}C$ for daily maximum/minimum temperatures.

농업을 비롯한 산업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 기상정보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영농활동에 있어서 의사지원시스템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작물 생장모형은 부단히 변화하는 대기환경에 대한 공간정보를 요구하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기상 관측밀도가 낮은 광범위한 작물 생육지역을 대상으로 일별 기상요소에 대한 공간분포를 추정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미관측 지점을 포함하는 우리 나라 전국을 대상으로 작물모형의 구동에 필요한 최소 기상요소들 중에서 일 최고 및 일 최저기온의 공간적인 분포를 추정하고 그 추정 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이해 먼저 58개 지점의 23년간 실측 기온자료로부터 지형기후학적 방법에 의하여 격자단위의 월별 기온평년값을 추정하고, 조화해석법에 의하여 일별값으로 변환하였다. 66개 기상청 관측소에서 수집된 임의 날짜의 최고/최저기온값과 관측소 해당 격자점의 평년값간 편차를 구한 다음, 미관측 격자점을 포함하는 한반도 전역의 기온편차를 거리역산가중법에 의하여 내삽.추정하였다. 각 격자점의 최종적인 기온 추정값은 기온 평년값에 이 편차를 더함으로써 얻었다. 얻어진 온도 분포는 위성자료로부터 추정한 지표온도분포 양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300여개의 자동기상관측 장비들로부터 수집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추정오차는 $1.5^{\circ}C$~2.5$^{\circ}C$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중앙기상대 기상연구소 주관 특정연구과제 전국 그물망 기후값 추정 및 기후도 작성 연구(3) 과학기술처
  2. 임하 및 주암 다목적댐 건설에 따른 기상환경 변화조사 수자원공사
  3. 한국임학회지 v.81 no.1 지형-기후 관계식에 의한 제주도의 월별 기온분포의 추정 신만용;윤진일
  4. 한국임학회지 v.85 no.3 임하댐 주변지역의 기상환경 변화가 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량적 분석 신만용;천정화
  5. 한국작물학회지 v.34 no.3 제주도의 농업기상. Ⅰ.지형기후 추정법과 동계 일 최저기온의 분포 윤진일;유근배;이민영;정귀원
  6. 한국기상학회지 v.33 no.3 주암 다목적댐 건설에 따른 국지 기후 변화가 농작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윤진일;황규홍;정현향;신만용;임준택;신진철
  7. 廣島縣農試報告 v.48 河野富香;森 康明;房尾一宏;上原由子
  8. 農業氣象 v.48 no.4 AMeDAS 資科の Mesh化 淸野豁
  9. Using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d Products Japanese system of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to user communities includ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Nakai, K.;A. Price-Budgen(ed.)
  10. Remote Sens. Environ. v.13 Estimating surface temperatures from satellite thermal infrared data: A simple formation for the atmospheric effect Price, J.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