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for Forest Fire Areas using GSIS

GSIS에 의한 산불 피해 지점의 공간 분포 분석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유영걸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최승필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응남 (인하공업전문대학 지리정보과)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Forest fires have been threats to natural resources, endangered species, properties and even to human lives.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fires requires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and human related activities, as well as complicate spatial relationships among them. A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GSIS) is an appropriate method of being able to mapping and to analyze the spatial data for forest fires.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vide and classify the terrain, vegetation, life environment soil and geology factors, and to analyze spatial distribution for forest fire areas by applying the GSIS and the Remote Sensing technology. On the other hands, causes of increasing numbers of forest fires being occurred after In were assessed by comparing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산불은 천연자원, 멸종위기에 처한 동 식물, 사람의 재산 및 생명까지도 항상 위협하는 존재이다. 산불의 효과적인 관리는 복잡한 공간 관련성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람의 활동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GS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는 산불에 대한 공간 특성을 분석하고 지도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형, 식생, 생활환경, 토양, 지질 인자 등을 선정 분류하고, GSIS와 원격탐사 기술을 통합 적용하여 산불 발생 지점의 공간 분포를 분석하였다. 또한 1990년대 들어서 증가하고 있는 산불 발생 원인을 식생지수의 비교를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