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logic changes of tooth and periodontal tissues applying to contraction & intrusion force for the maxillary four incisors of dogs

성견 상악 4절치의 Contraction과 압하시 치아 및 주위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 Kim, Young-K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Cha, Kyung-S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Lee, Jin-Woo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김영국 (단국 대학교 치과 대학 교정학 교실) ;
  • 차경석 (단국 대학교 치과 대학 교정학 교실) ;
  • 이진우 (단국 대학교 치과 대학 교정학 교실)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itial tissue changes on the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under contraction and intrusive force by contraction UTA. A control and experimental dogs, 10-months in age, were studied. Contraction and intrusive force(60gm) were applied at upper four incisors by contraction UTA. Experimental dogs were sacrificed at 2 weeks and 4 weeks after force applicat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2 experimental groups were designed by the duration of force applied(E1, E2). The specimens were taken around the upper first and second incisor in each groups and were prepared for the H-E and MT stain for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own. : 1. In control group, the periodontal ligament width was constant from apical third to cervical third of the root and periodontal fiber arrangement was horizontal or oblique in cervical third, oblique in middle third and apical third. In alveolar bond, smooth appearance was shown with osteoblast. 2. In experimental group 1, in proportion to force was concentrated at labial middle third and apical third of root of the upper first and second incisors, root of these tooth tipped labially and intruded at a time. 3. In experimental group 2, periodontal ligament width and arrangement was similar to control and observed strong calcified response at the labial middle third of root. But, alveolar bond resorption and cementum resorption were as before seen at labial middle third and apical third of root that force was concentrated.

본 연구는 Contraction Utility Arch wire를 이용하여 성견의 상악 4절치에 후방 견인력과 압하력을 2주와 4주간 적용하여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생체에서 나타나는 생물학적인 효과와 작용의 진행과정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생후 약 10개월 정도의 성견 3 마리를 각각 실험군 2마리와 대조군 1 마리로 나누어 제 1, 2 절치에 1mm의 후방 견인력과 60gm의 압하력이 가해지도록 Contraction UTA를 삽입하였다. 장치 부착없이 2주후 희생시킨 것을 대조군으로, 장치 장착 2주후 희생시킨 것을 실험 1군으로, 장치 장착후 재활성화없이 4주후 희생시킨 것을 실험 2군으로 하여 각 군의 제 1, 2 절치에 대한 탈회 표본을 제작하여 Hematoxylin-Eosin염색과 Masson's Trichrome염색을 시행한 후, 각 치아의 치경부 l/3, 치근 중앙 1/3, 치근단 1/3의 치근 및 치아 주위 조직을 광학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 소견에서, 치주 인대는 치근단 부위에서 치조정까지 일정한 형태를 이루며 비교적 균일한 두께와 연속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치조골 표면은 조골 세포와 함께 부드러운 골면을 이루고 있었다. 치근의 중앙부 및 치근단 부위에서는 세포성 백악질의 침착을 보였다. 2. 실험 1군의 제 1 절치에서, 치주 인대는 순설측 치경부에서 치근단 방향으로 신장되었다가 치근단부에서 압축되어 치조골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치조골 흡수는 순측 치근 중앙부와 치근단부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고 순측 치근단 부위의 치아면을 따라 백악질 흡수 부위가 산재되어 나타났다. 제 2 절치 역시 제 1 절치와 유사한 소견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설측 치근단부에서 백악질 흡수 소와가 다수 관찰되었다. 3. 실험 2군의 제 1 절치에서,치주 인대의 주행 방향과 간격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나, 치근단부에서는 여전히 혼재된 치주 인대 섬유의 주행이 관찰되었다. 설측 치근 중앙부에서 신생골의 석회화 반응이 강하게 관찰되었고, 순측 치근단부에서 골 흡수와 신생골 석회화가 진행중인 골 부위가 동시에 관찰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