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의 정체성 : 독일의 사회정책연구를 사례로

Identifying Features of Social Welfare Studies : With the Case of German Research Trends

  • 발행 : 1999.12.25

초록

이 연구는 두 가지의 연구관심을 갖는다. 첫째는 한국의 사회복지학 정체성 정립과 관련된 것으로 독립 학문으로 분화한 현실에 바탕을 둔 지금까지의 논의와 달리, 사회 정책이 독립 학문화되지 않은 독일의 연구경향을 검토하여 사회복지학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에 새로운 시각을 도입하고자 하는 것이다. 독일에서 사회정책이 독립 학문으로 성립되지 못한 이유는 사회과학의 가치문제, 대상의 모호성, 사회과학내 위상의 문제 등 때문이다. 두번째 연구 관심은 그렇다면 법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역사학, 교육학 등 개별 학문분야에서 사회정책이 연구되는 독일에서는 어떤 연구가 이루어지는가와 그 공통점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가질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에서 개별 학문분야의 사회정책적 연구들은 개별 학문의 방법론을 사용하지만 '인간 생활상황의 개선'이란 연구관심에 의해 주도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사회과학의 가치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쟁점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인간 생활상황의 개선'에 관한 연구가 주관적 가치문제를 다루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독일의 사회정책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천성의 문제와 가치문제가 동일한 문제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대상분야의 모호함도 현 시대 모든 사회과학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사회복지학에만 나타나는 특수한 현상은 아니다. 넷째, 사회복지학과 다른 사회과학과의 관계설정에 관한 연구가 '인간 생활상황의 개선'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고, 이 관점에서의 이론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라면 사회복지학적 연구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사회복지학 자체가 추구해야 할 이론이 중범위 이론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has two research interests: First, to give a new perspective in searching for the identifying features of social welfare studies in Korea where social welfare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through an examination of german research trends in social policy, where social policy is no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but as a field of study. The reasons of non-recognition of social policy studies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in Germany are value problems, vagueness of research objects, and the position of social welfare in relation to another social sciences. Second, to show the trends of german studies in social policy from diverse disciplines, i. e. sociology, political science, law, history, pedagogics etc. and the common points in these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feature of german Studies on the social policy from diverse disciplins is above all the interest in the improvement of Lebenslage, i. e. conditions of life. Second, the value problems in social sciences are not solved till now, but the interests in the improvement of Lebenslage don't mean studies of social policy must handle with values. The interests in the applicability of social policy don't mean values must be improved in the studies either. Third, the vagueness of the objects can be found also in other social sciences and is not unique in social policy studies. Fourth, the studies, which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Lebenslage and can contribute to construct theories such as raising the effectiveness of state intervention must be recognized as studies of social policy, even though they are written by social scientists from other disciplines. This means the theories of social policy to pursue are connected with theories of middle range, i. e. with lower degree of abstra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