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of Reemployment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1997 : An Empirical Approach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IMF 이후 발생한 실업자의 실업탈피 가능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 유태균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 Published : 1999.12.25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determinants of reemployment of the unemployed after the crash of Korea's economy in 1997.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 unemployment programs on reemployment of the program beneficiaries. Using the data from the 1998 Survey on Unemployment Condition and Welfare Needs, co-dir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of Labor Policy, a Cox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in general, the government unemployment programs did not have noticeable effects on reemployment of the beneficiaries. The study, however,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government programs varied, depending on the mode of unemployment-exit, that is, full-time versus part-time reemployment. In addition, the effects of such factors on reemployment a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unemploye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with unemployed family members, and previous job characteristics are also examin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improving the current unemployment programs.

이 연구는 IMF 이후의 대량실업 상황하에서 실업자의 실업탈피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으며, 특히 정부의 실업대책이 실제로 실업자의 실업탈피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이 공동으로 실시한 '1998 실업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에 대한 콕스 비례위험회귀(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부의 실업대책이 실업탈피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대상의 실업탈피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정부의 실업대책 이외에도 실업자와 실업가구의 인구, 사회 및 경제적 특성, 이전 직장관련 특성, 그리고 생계유지수단이 실업탈피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실업대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