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inkage between NGOs and Government in Resettlement Assistance for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NGO와 정부의 연결관계의 모색: 탈북자 정착지원의 경우

  • 이기영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d : 1999.04.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NGOs and government assisting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and seeks a desirable model of a linkage between the two sectors. The factors used in this study for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GOs and government are frequency and direction of interaction between NGOs and government, government's acceptance or resis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the degree of formality of the relationship, and the relative power balance in the relationship. Also, Coston's typology(l998) of NGO-government relationships is applied for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in resettlement assistance for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Korean NGOs and government have a cooperative relationship at minimal level, which means that there is a low linkage, informal relationship, and asymmetrical pow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ectors. Also, government's accep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seems to be superficial and a tendency of one-way direction of interaction is identifi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a more collaborative relationship or partnership between NGOs and the government to arrange more effective assistance programs and activities. Discussion of some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achieving the collaboration and suggestion of a possible model of linking government to the NGOs are followed in conclusion.

이 글은 NGO와 정부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관계의 유형, 그리고 그 속에 내재되는 중요 요소들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이러한 민간-정부의 관계성 모색의 이론적 작업을 탈북자 정착지원사업이라는 현실영역에 적용하고 있다. 정부와 NGO사이의 상호작용의 빈도와 방향성, 정부의 제도적 다원주의의 수용, 공식성(formality)과 파워관계의 대칭성등을 위주로 현재 탈북자를 지원하는 민간단체와 정부와의 관계가 분석이 되었고 coston(1998)이 제시한 다양한 NGO-정부의 관계유형으로 분석된 결과, 소극적이고 최소한의 협조적 관계(cooperation)를 이루고 있었다. 탈북자 지원 사업에서의 이러한 소극적 협조관계 속에서 정부와 민간단체들은 낮은 연결성(low linkage)를 보이며 상호작용의 방향에서 정부 일방적인 경향이 있고, 정부는 형식적으로는 제도적 다원주의를 추구하고 있으나 실질적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지는 않다. 그 결과 양자의 관계는 매우 비공식적이고 파워관계가 외부적으로 표출되지는 않지만 정부쪽으로 기우는 비대칭의 모습을 내재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앞으로 추구될 바람직한 정부와 민간단체의 관계적 유형은 협력적 연결관계(collaboration) 혹은 양자간의 파트너쉽이라고 규정하고 이른 실현하기 위한 현실적 과제들을 토의한 후 단기적이고 현실적인 전제조건하에서 하나의 연결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